사회 전국

[혁신으로 도약하는 충청권] 미래산업 선점…대한민국 경제수도 꿈꾼다

대전시-산업용지 ‘500만평+α’ 청사진, 방산 등 차세대산업 메카로 부상

세종시-경자구역지정해 자족기능 확충, 경제·교육 이끄는 미래도시 도약

충남도-‘베이 밸리 메가시티’ 건설 박차, 4차산업 글로벌 거점으로 육성

충북도-60조 투자유치 목표 달성 위해 배터리·바이오·반도체 역량 강화

KAIST와 함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등 정부출연연구원이 집적한 대덕연구개발특구 전경. 사진 제공=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KAIST와 함께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등 정부출연연구원이 집적한 대덕연구개발특구 전경. 사진 제공=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출범 10년 만에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 자리잡은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 전경. 사진 제공=세종시출범 10년 만에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 자리잡은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 전경. 사진 제공=세종시


충남도청과 충남도교육청 등 주요 행정기관 이전을 통해 충남의 중심으로 부상한 내포신도시 전경. 사진 제공=충청남도충남도청과 충남도교육청 등 주요 행정기관 이전을 통해 충남의 중심으로 부상한 내포신도시 전경. 사진 제공=충청남도


충북 경제의 차세대 전진기지로 부상하고 있는 청주시 오송읍 충북경제자유구역 전경. 사진 제공=충청북도충북 경제의 차세대 전진기지로 부상하고 있는 청주시 오송읍 충북경제자유구역 전경. 사진 제공=충청북도


민선 8기 출범을 맞아 대전, 대전, 충남·북, 세종 등 충청권이 전략 산업 육성과 우수 기업 유치를 양대 축으로 대한민국의 경제수도로 변모하고 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한때 적잖은 위기를 겪기도 했지만 혁신 성장을 위한 투자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일자리 창출이 속도를 내면서 가시적인 성과를 예고하고 나섰다.



대전시는 대전을 ‘일류 경제도시’로 만들겠다는 목표 아래 산업용지 500만평 이상을 확보하겠다는 청사진을 내걸었다. 제2대덕연구단지 200만평, 나노반도체산업단지 100만평, 대기업 유치를 위한 일반산업단지 100만평, 글로벌 플랫폼기업 유치 30만평, 갑천변 지식산업센터 및 스타트업타운 10만평 등을 새로운 산업단지로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우수 첨단 기업을 유치하고 방산, 나노반도체, 우주, 바이오·헬스 등 4대 핵심 전략 산업을 육성해 대전을 미래 핵심 산업도시로 전환시켜나간다는 계획이다.

특히 대전으로 이전이 확정된 방위사업청을 중심으로 대전을 방산혁신클러스터로 만드는 데도 역량을 모을 예정이다. 대전은 3군 본부, 군수사령부, 조달청, 국방과학연구소, 방산 대기업 등 방산 관련 산·학·연·관이 집적돼 있다. 향후 첨단국방산업단지(대전), 방산혁신클러스터(대전), 국방산업클러스터(논산·계룡)가 조성되면 충청권이 국방 혁신의 전진기지로 도약할 수 있을 전망이다.



세종시는 행정수도를 뛰어넘는 ‘창조와 도전의 미래 전략수도 세종’ 건설을 시정4기 비전으로 제시했다. 지난 10년이 성공적인 행정수도 조성을 위한 기간이었다면 앞으로는 미래 혁신 성장을 위한 발걸음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특별자치시에 걸맞은 행정 및 재정 특례를 도입하고 경제자유특구과 교육특구를 잇따라 지정해 ‘경제와 교육이 이끄는 미래 전략도시’로 도약한다는 각오다.

관련기사



세종시는 국회 세종의사당과 대통령 세종집무실의 조속한 설치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법무부·여성가족부 등 미이전 중앙행정기관과 대통령 직속 각종 위원회의 추가 이전, 지방(행정)법원 설치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또 행정 기능만으로는 성장에 한계가 있다는 판단 아래 자족기능 확충을 위한 대전세종경제자유구역 지정을 핵심 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충남도는 민선 8기 도정 비전인 ‘힘쎈 충남, 대한민국의 힘’을 실현하기 위해 반도체, 디스플레이, 미래차, 바이오, 2차전지 등 미래 전략 산업을 집중 육성한다는 복안이다. 또 ‘탄소중립 경제특별도’를 선포해 미래 에너지로의 대전환은 물론 실질적인 화력발전소 폐지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 GTX-C노선 연장과 충청내륙철도 건설, 서산국제공항건설, 보령신항 조기 완공도 역점 사업 중 하나다.

충남은 신성장동력 창출과 대한민국 경제를 이끌 ‘베이밸리 메가시티’ 건설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천안·아산·당진·서산 등 충남 북부권과 평택·안성·화성·오산 등 경기 남부권을 아우르는 아산만 일대를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수소경제 등 대한민국 4차 산업을 선도하는 글로벌 경제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민선 8기 핵심 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충북도는 민선 8기 임기 내애 지역내총생산(GRDP) 100조 원 달성을 목표로 양적 성장을 넘어 질적 성장으로 지역경제를 한 단계 더 도약시킨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창업투자펀드 1000억 원 조성, 투자 유치 60조 원 달성, 양질의 일자리 10만 개 창출, 수출 430억 달러 달성 등을 세부 목표로 수립했다. 배터리, 바이오, 반도체를 기반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 주력 산업 육성에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충북도는 이를 위해 대기업 등 첨단 우수 기업의 투자유치보조금 2배 이상 증액하고 민선 8기 동안 산업용지 연 100만평 공급, 외국인투자 및 수출기업 유치를 위한 충북 자유무역지역 10만평 지정을 추진한다. 또 첨단투자지구 2개소와 외국인투자지역 2개소를 추가로 지정하고 우수 벤처기업을 위한 벤처임대단지 2만 6000평 신규 조성 등 투자 인프라 구축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대전·세종·홍성·청주=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