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ATM 닫고 현금결제 거부…코로나19가 화폐유통에 미친 영향

한은, 화폐유통시스템 협의회 구축

취약계층의 경제활동 제약될 가능성

한국은행 앞. 연합뉴스한국은행 앞. 연합뉴스




코로나19 이후 현금자동입출금기(ATM) 사용이 줄어들고 일부 현금결제를 받지 않는 곳이 등장하는 등 화폐유통에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은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협의회를 구성하고 본격 대응에 나섰다.



한은은 지난 14일 ‘화폐유통시스템 유관기관 협의회’를 발족해 최근 화폐 수급 동향, 코로나19가 국내 화폐유통시스템에 미친 영향, 화폐유통시스템 효율성 제고를 위한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고 18일 밝혔다. 협의체는 김근영 한은 발권국장을 의장으로 22개 유관기관이 참여한다.

관련기사



이번 회의에서는 코로나19가 화폐 수요와 사용자, 화폐 공급과 유통 양 측면에서 화폐유통시스템에 부정적 영향을 끼쳤다는 평가가 나왔다. 금융기관 점포와 ATM 수 감소 폭이 코로나19 확산 이후 확대되는 가운데 일부 프랜차이즈 매장이나 현금 없는 버스 등 현금결제 거부 사례도 늘고 있다는 것이다.

고령층, 저소득층 등 디지털 지급수단에 대한 접근성이 낮은 취약계층의 경제활동이 제약될 가능성이 커졌다. 코로나19 이후 현금 수송과 정사 물량이 감소하는 등 화폐 취급업무 수행기관의 경영 여건이 악화되면서 화폐유통 시스템의 원활한 작동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도 커졌다.

회의 참석자들은 현금 사용이 줄어들면서 ATM 운영 등 현금취급업무 수행 환경이 지속적으로 악화됐다고 토로했다. 최근 비현금시급수단 이용 활성화 등으로 주화 수요가 크게 감소했으나 10원화는 수요가 높은 수준인 만큼 공급 부족이 나타나지 않도록 충분히 공급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현금뿐만 아니라 중앙은행디지털화폐(CBDC) 추진 동향에 대해서도 정보 공유 차원에서 논의를 함께 진행하자는 요청도 제기됐다.

김 국장은 “최근 비현금 지급수단에 대한 선호 경향이 높아지면서 현금 사용이 줄어들고 있지만 현금은 금융 포용, 개인정보 보호, 가치저장 수단 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며 “국민의 일상적인 현금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기 위해 발권당국인 한은을 비롯한 화폐유통시스템 참가기관들의 각별한 관심과 대응 노력이 긴요하다”고 말했다.


조지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