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기록적 엔저에 日 9월 소비자 물가 31년만 최대 상승

1년 전보다 3% 올라… 연간 물가 목표치 '2%대' 웃돌아

최근 일본 도쿄 스가모구의 쇼핑가에서 행인들이 식품점 앞을 지나가고 있다. EPA연합뉴스최근 일본 도쿄 스가모구의 쇼핑가에서 행인들이 식품점 앞을 지나가고 있다. EPA연합뉴스




일본의 9월 소비자 물가가 31년 만에 최대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32년 만에 달러 당 150엔선이 무너질 정도로 기록적인 엔저(엔화 가치 하락)가 인플레이션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일본 총무성이 21일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지수(신선식품 제외)는 전년 동월 대비 3.0% 상승했다. 2014년 4월 소비세율이 5%에서 8%로 인상돼 물가지수에 반영된 효과를 제외하면 1991년 8월(3.0%) 이후 31년 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라고 현지 방송 NHK는 전했다.



특히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이 목표로 잡고 있는 연간 물가 상승률 2%대를 올 들어 처음으로 넘어선 것이기도 하다. 일본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월부터 8월까지 5개월 연속으로 2%대를 기록하다가 9월에는 3%를 넘었다. 이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이후 국제 에너지 및 원자재 가격이 오른 상황에서 엔화 가치마저 급락해 수입 물가가 급등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관련기사



엔·달러 환율이 전날 달러당 150엔을 돌파하면서 엔화 가치는 1990년 8월 이후 3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올해 초 115엔 안팎이던 엔·달러 환율이 35엔(30%)이나 급등하면서 수입품 가격이 상승했다.

소비자 물가뿐 아니라 기업물가지수도 급등하면서 소비자물가는 앞으로도 더욱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3일 발표된 9월 기업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9.7% 상승하면서 1960년 관련 통계를 발표하기 시작한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기업물가지수는 기업 간에 거래하는 물품의 가격 동향을 나타내는 지수로 앞으로 소비자물가로 전가될 가능성이 크다.

이와 관련해 현지 언론들은 일본은행이 오는 27∼28일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2022년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7월에 발표한 2.3%에서 2%대 후반으로 올릴 것으로 예상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연간 2%대 후반의 물가 상승률은 소비세 증세 영향 등을 제외했을 때 '거품(버블) 경제' 후반 국면이었던 1991년의 2.6% 이후 31년 만이다.

또 일본 정부는 물가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계와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전기와 도시가스 요금 지원 등의 조치를 포함한 경제 종합 대책을 이달 말까지 수립할 계획이다.


조양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