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걷다가 맨홀 아래로 '푸욱'…지자체 "국가배상 받아라"

연천서 맨홀 아래로 발 빠져…전치 2주

"노후 맨홀뚜껑 실금 보이는데 당국 무대응"

제보자가 제공한 경기도 연천군 내 콘크리트 재질의 맨홀 뚜껑 사진(왼쪽). 오른쪽 사진은 부서진 맨홀 뚜껑에 빠져 전치 2주의 부상을 입은 행인의 다리. 연합뉴스제보자가 제공한 경기도 연천군 내 콘크리트 재질의 맨홀 뚜껑 사진(왼쪽). 오른쪽 사진은 부서진 맨홀 뚜껑에 빠져 전치 2주의 부상을 입은 행인의 다리. 연합뉴스




인도 위 콘크리트 맨홀 뚜껑이 무너져 행인이 추락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기도 연천군에 사는 30대 A씨는 지난 18일 오후 11시께 전곡리의 한 인도를 걸어가다 왼쪽 다리가 골반까지 땅속으로 빠져들어 가는 사고를 당했다.

A씨는 다리가 빠지는 순간 ‘이렇게 죽는 건가’ 생각했다고 연합뉴스에 말했다.

사고의 원인은 맨홀 뚜껑이 부서지며 무너져 내린 것이다. A씨가 발을 디딜 때 맨홀 뚜껑의 약한 부분이 부서졌다.



맨홀의 아래 공간은 제법 깊어 뚜껑 아래에 빠진 한쪽 다리를 빼내기도 쉽지 않았다. A씨는 이 사고로 왼쪽 무릎과 다리에 타박상 등 전치 2주의 상처를 입었다. 현재 일상 생활 중 걸어 다니는 것도 불편한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제보자 제공 사진. 맨홀 뚜껑 아래에서부터 부식이 진행된 것이 보인다. 연합뉴스제보자 제공 사진. 맨홀 뚜껑 아래에서부터 부식이 진행된 것이 보인다. 연합뉴스


A씨가 밟았던 맨홀 뚜껑은 콘크리트 재질로 만들어져 6년 이상 시간이 지나 뚜껑 안쪽이 부식돼 균열이 발생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균열의 크기는 점차 커져 바깥쪽에도 육안으로 확인 가능할 만큼의 실금이 생겼다. 다만 당국은 이를 알지 못하고 방치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사고 대비 보상 방안이 없다는 점도 문제였다. 국가배상 절차를 밟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커 A씨는 개인 비용으로 치료를 받아야 한다.

A씨는 “내 키가 180㎝로 크고 젊어서 그나마 다행이었다. 만약 어르신들이 빠졌다면 더 큰 사고가 났을 것”이라며 “국민신문고에 올렸더니 담당자가 다음날 전화 와서 몸이 어떤지는 묻지도 않고 보험 처리가 안 되니 국가배상 절차를 밟으라고 말하더라”고 연합뉴스에 전했다.

그는 “동두천 등 주변 지방자치단체들은 맨홀 뚜껑을 모두 주철로 바꾼 것으로 아는데 연천군은 아직도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있어 위험하다”라며 “소 잃고 외양간 고치지 말고 나라 예산을 꼭 필요한 곳에 잘 사용했으면 좋겠다. 노후한 맨홀을 모두 교체해야 나 같은 피해를 막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천군 관계자는 “CCTV를 통해 맨홀에 빠진 사람이 A씨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정말 죄송하게 생각한다”라면서 “오수관로는 보험 대상이 아니어서 국가배상을 신청하도록 안내했다. 올해 12월까지 관내 모든 오수와 우수 관련 맨홀들을 조사해 내년 상반기 콘크리트 재질의 맨홀 뚜껑을 모두 주철로 교체하겠다”고 밝혔다.


변윤재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