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용산서 "이태원 상인회, 과도한 경찰력 배치 자제 요청 했었다"

"상인회 자체 자정능력·가드 직원·구청 협조 요청한다고 했다"

상인회 "사실무근" 반박…관계 기관 책임 떠넘기기 이어져

'이태원 참사' 부실 대응을 수사하는 경찰 특별수사본부가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용산구청 등에 대해 강제수사에 착수한 2일 오후 종로구 서울경찰청 입구 모습. 연합뉴스'이태원 참사' 부실 대응을 수사하는 경찰 특별수사본부가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 용산구청 등에 대해 강제수사에 착수한 2일 오후 종로구 서울경찰청 입구 모습. 연합뉴스




지난 29일 발생한 이태원 참사에 관해 용산서 112상황실장은 “이태원 상인회 측에서 과도한 경찰력 배치 자제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전날부터 경찰과 상인회 측의 엇갈린 주장이 계속되면서 책임공방이 확산하는 모양새다.



2일 서울 용산경찰서 112상황실장은 상인회에서 통제 자제를 요청했는지 묻는 질의에 “요청했다. 부회장이 작년 코로나19 때를 예시로 들며 경찰 및 기동대가 너무 많아 과도하게 배치돼 그것 때문에 영업이 안 됐다"면서 “올해는 거리두기 해제 됐으니까 과도한 경찰력 배치를 자제하고 상인회 자체적인 자정능력, 가드 직원들을 통하고 구청에도 협조 요청한다고 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한편 전날인 1일에도 용산서의 한 간부는 지난달 26일 용산경찰서와 이태원관광특구상인연합회(상인회)·용산구청·이태원역 관계자가 모인 '핼러윈 기간 시민 안전 확보 간담회'에서 상인회 간부가 경찰의 현장 통제에 부정적인 입장을 내비쳤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간담회에 참석한 상인회 A씨가 작년처럼 경찰관 기동대가 도로 곳곳에 깔려 호루라기 불면서 사람들을 통제하면 안 된다고 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상인회 측은 이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하고 있는 상황이다. 상인회 A씨는 전날(1일) "말도 안 되는 얘기"라면서 "(증원을) 요청했으면 했지, 어떻게 단속하지 말라고 요청하느냐"고 밝힌 바 있다. 그러면서 "경찰이 간담회에서 '200명 정도 현장에 투입할 예정'이라고 말했고 (핼러윈 기간에는) 시민들이 도로로 나가지 못하도록 경찰과 상인회가 함께 안전 관리를 하고 병목현상이 일어나는 곳을 단속했다"고 덧붙였다. 경찰과 상인회 측이 엇갈린 주장을 내놓으면서 관계 기관들의 책임 떠넘기기가 계속되고 있다.

한편 용산서 112상황실장은 사고 당일 현장 인력배치에 관해 “사람 많이 모이는 장소, 도로를 중심으로 4개 구역으로 나눴고 그곳을 이태원파출소가 전담했다. 그곳까진 차가 못 가고 도보로 가야 하는 곳이다”라며 “횡단보도와 이태원 사거리 쪽은 교통과 경찰이 배치됐고 형사과는 권역별로 형사과장이 뿌려서 활동했다. 외사는 미군헌병이 오면 함께 합동순찰했다”고 이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렇게 해서 총 137명. 여기엔 교통기동대 20명이 포함된 것이다. 용산서, 용산서 소속 파출소 등에서 경력 117명이 나갔다고 보면 된다”고 밝혔다.

상황실장은 당일 신고 건수의 경우 “그날 오후 6~10시까지 79건이 들어왔고 이 정도면 지역 경찰관서 하루 전체 신고 건수 중에서도 많은 편에 속한다. 2인 1조로 (현장에) 나가는데 나가서 1~5분 만에 일을 처리 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인파도 너무 많아 잘 보이지도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두세 건을 동시에 가지고 나가 한 건 먼저 해결하고 그 다음 사건 해결을 위해 신고자에게 전화하면 ‘다른 데 이동해서 괜찮습니다’라고 답변한다. 이렇게 되면 경찰관들이 현장에 가고 있었지만 현장 출동이 아닌 게 돼버려 본청에서 11건 현장에 가지 않았다고 하는 것은 그런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10시 이후로는 신고가 폭주했고 그날 오후 6시부터 다음날 오전 5시까지 450건 가까이 신고가 들어왔다”고 설명했다.


박신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