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재테크

금융위 생보사 유동성 규제 한시적 완화

생명보험사 자금조달?운용 동향 점검

만기 3개월 이상 채권 자산 인정 추진

자금 시장 안정위해 채권 매도 자제 당부





생명보험사가 채권시장안정펀드의 캐피털콜(자금 납입 요청)에 호응할 수 있도록 유동성 평가 기준이 올해 12월까지 한시적으로 완화된다.

금융위원회는 3일 보험연구원에서 금융감독원, 생명보험 업계와 만나 금융시장 현황을 점검하고 이 같은 유동성 규제 완화안을 내놓았다. 이번 조치로 보험사 경영실태평가(RAAS) 시 유동성 지표의 평가 등급이 1등급씩 상향 적용될 예정이다.



금융위는 보험사 유동성비율 규제 시 유동성자산의 인정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도 이달 중 보험업감독규정 시행세칙을 개정해 조속히 추진하기로 했다. 앞서 금융위는 지난달 28일 손보 업계 간담회에서 현행 만기 3개월 이하 자산인 유동성자산 인정 범위를 확대 적용하기로 발표한 바 있다.

관련기사



생보 업계는 이날 간담회에서 예적금 금리 상승 여파로 저축성보험 해약이 늘면서 가입자에게 적립금을 돌려주기 위해 불가피하게 보유 채권 등을 매각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고 애로 사항을 전달했다.

이와 관련해 금융 당국은 보험사의 유동자산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은 이해한다면서도 자금시장 안정을 위해 채권 매도 등은 가급적 자제하고 기관투자가로서 적극적으로 시장 안정을 위해 노력해달라고 당부 메시지를 전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생명보험협회를 비롯해 교보생명·농협생명·라이나생명·삼성생명·신한라이프·한화생명 관계자가 참석했다. 다만 신종자본증권(영구채) 콜옵션(조기상환권) 미행사 결정으로 평판 리스크에 휩싸인 흥국생명과 행사 기일 자체를 연기한 DB생명은 불참했다.

금융위는 DB생명의 신종자본증권은 해외 발행이 아닌 국내 발행 건으로 해외 투자자와 관련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어 “DB생명의 신종자본증권 투자자는 소수이며 시장에 유통되는 물량이 아니므로 채권 유통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없다”면서도 “향후 시장상황을 지속 모니터링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금융위는 이날 은행권 금융시장 점검 실무 태스크포스의 킥오프미팅을 별도로 열고 매주 은행권의 자금 중개 기능을 시장 원칙에 기초해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유현욱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