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금융정책

금융위, 파생결합증권 여전채 편입한도 축소 3개월 유예

12%→8%…올 연말 축소할 예정

카드·캐피탈사 유동성 우려에

적용 시점 내년 3월 말로 연기





금융당국이 증권사 파생결합증권의 여전채 편입한도 축소 계획을 미루기로 했다. 채권 시장에서 여전채가 외면을 받으면서 여신전문회사들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에 대한 대응책이다.



금융위원회는 4일 금융감독원과 여신금융협회 및 여신전문금융사와 함께 금융시장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금융당국은 현재 시행중인 주가연계증권(ELS)와 파생결합증권(DLS)의 헤지자산과 관련한 여전채 편입한도 축소 계획을 3개월 미루기로 했다.

관련기사



애초 당국은 현재 12%로 정해져 있는 증권사의 파생결합증권 헤지자산 관련 여전채 편입한도를 내년부터 8%로 적용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이번 결정으로 내년 3월 말까지 기존대로 12%를 계속 유지할 수 있게 됐다.

현재 여전채는 채권시장에서 은행채나 특수채에 비해 신용도가 낮아 외면을 받고 있다. 만약에 예정대로 내년 초부터 파생결합증권에서 헤지자산으로 편입할 수 있는 한도까지 줄이게 되면 상황이 더 악화될 수 있다. 시장에서 매입되는 여전채가 줄게 되면 채권 발행만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카드사와 캐피탈사 등 여신전문금융회사들의 자금난도 심화될 수밖에 없다.

금융위 관계자는 "여신전문금융회사도 자체적인 유동성 및 자산건전성 관리에 만전을 기하는 등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줄 것을 당부했다"며 "수시로 소통하면서 시장 안정을 위한 공동의 노력을 해나가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고 전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