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지하철 노조 "서울시 구조조정 철회 안하면 30일 파업"

7일 기자회견 열어 파업 계획 공개

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서울교통공사 양 노조 연합교섭단 주최로 파업찬반투표 결과 발표 및 투쟁방침 공표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7일 오전 서울시청 앞에서 서울교통공사 양 노조 연합교섭단 주최로 파업찬반투표 결과 발표 및 투쟁방침 공표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지하철 1~9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이하 공사) 노조가 이달 30일 파업 돌입을 예고했다. 지난달 말 ‘이태원 참사’로 지하철을 포함한 다중이용시설에서의 과밀에 따른 안전 사고 우려가 커진 가운데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출·퇴근길 불편이 가중될 전망이다.



공사 노조는 7일 서울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세훈 서울시장의 결단과 서울시의 입장 변화가 없으면 이달 30일 주간 근무부터 양대노총 소속 연합교섭단 노조가 모두 참여하는 공동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선언했다.

관련기사



노조에 따르면 공사는 지난달 임금 단체 협상(임단협)에서 2026년까지 공사 인력의 10% 수준인 1500여명의 정원을 줄이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에 노조는 임단협 결렬을 선언하고 서울 지방노동위원회에 쟁의 조정 신청, 조합원 대상 투표를 거쳐 파업 진행을 위한 법적 요건을 확보했다.

노조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안전을 위해 인력 충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류기섭 한국노총 공공연맹 위원장은 “안전 담당 인력과 점검 인력을 늘리는 것이 당연한 수순”이라며 “서울교통공사가 적자라는 이유로 인력을 늘리겠다는 합의조차 폐기한다면 안전이 도외시되고 또 다른 참사를 낳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 뻔하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16일부터 조합원들의 준법 투쟁을 시작할 계획이다. 이후 서울시 및 정부가 구조조정 및 안전대책 관련 안을 내놓지 않는다면 이달 30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총파업이 시작되면 서울 지하철 1∼8호선은 감축 운행이 이뤄진다. 평시 대비 운행률은 1호선 53.5%, 2호선 72.9%, 3호선 57.9%, 4호선 56.4%, 5∼8호선은 79.8%다. 주말 운행률은 전 노선에서 절반(50%) 수준이 된다.

반면 공사 측은 안전 인력을 감축할 계획이 없으며 조리원 등을 외주에 맡기는 방식으로 인력을 줄여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사 관계자는 "새로 인력감축안을 발표한 것은 아니고, 지난해 5월 마련된 혁신안대로 진행하겠다는 것"이라며 "정확한 감축 규모는 추후 노조와 협의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경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