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건설업계

현대건설, ‘터널 기계화 시공’ 선도…한국형 로드헤더 굴착속도 예측모델 개발

단단하고 복합지층 많은 암반특성 고려

사고 위험성 낮추고 소음·먼지 줄이는

기계화 공법 개발하고 특허등록

터널 등을 건설할 때 굴착 작업에 활용되는 로드헤더 모습/사진 제공=현대건설터널 등을 건설할 때 굴착 작업에 활용되는 로드헤더 모습/사진 제공=현대건설






현대건설이 국내 최초로 한국형 로드헤더 굴착속도 예측모델을 개발하는데 성공하고 특허 등록을 마쳤다. 로드헤더를 이용한 굴착 작업은 재래식 발파공법보다 소음과 먼지가 적게 발생하고 사고 위험성도 낮다.

관련기사



8일 현대건설에 따르면 로드헤더는 터널 굴착을 위해 사용하는 기계로 주로 해외 탄광 및 터널 공사에 이용됐다. 한국은 암반이 단단하고 복합지층이 많아 로드헤더를 사용한 사례가 적어, 건설사들은 그간 해외에서 개발한 굴착속도 예측모델에 의존해왔다. 현대건설은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천도시철도 1호선 검단 연장선 현장을 대상으로 연구개발을 수행했다. 이를 기반으로 현대건설은 해외 예측모델을 검증했으며, 국내 지반 특성을 고려한 한국형 로드헤더 기계 굴착속도 예측모델도 선보였다.

이 밖에도 현대건설은 TBM(Tunnel Boring Machine) 공법에서도 다양한 연구개발을 수행하는 등 기계식 굴착 장비를 통한 터널 기계화 시공에 앞장서고 있다. 최근에는 TBM 운영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와 지반 정보를 실시간으로 취합 및 분석해 TBM 운전자에게 최적의 운영 방법을 제시하는 ‘TBM 통합운전관리시스템’을 개발했다. 시스템에 대한 실증을 마쳤으며 대곡-소사 복선전철 현장에 실제 적용해 공기 단축과 공사비 절감 성과도 이뤘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노선 등의 수요 증가로 터널 공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며 “향후 다양한 기술을 적극 개발하고 도입해 지하 공간에서의 작업환경을 개선시키며 건설현장의 선진화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이수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