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동연, '안전예방 핫라인' 개설…'도민안전 혁신단' 등 구성

"국민안전은 국가정책의 최우선 순위…대통령 직속 '국민안전자문회의' 설치해야"





경기도가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안전예방 핫라인’을 개설하고 ‘도민안전혁신단’을 만드는 등 자체 대책을 마련해 추진한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10일 기자회견을 열어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경기도 안전관리체계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도는 시설물 안전에 대해 1999년부터 시행 중인 ‘도민 안전점검 청구제’를 확대·개편해 안전예방 핫라인을 만들기로 했다.

김 지사는 “현재 경기도청 홈페이지상의 청구 절차를 간편하게 개편하고, 카카오톡 경기도 체널과 전용전화도 만들겠다”며 “이를 통해 도민이라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접할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수원 세모녀 사건 이후 ‘긴급복지 핫라인’을 만들어 복지 사각지대 발굴에 성과를 거둔 바 있는데, 휴대폰 뒷번호 7722번은 ‘경기도 핫라인’의 상징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15명 이내의 민간 전문가와 사회재난 피해 당사자 등으로 ‘도민안전 혁신단’을 구성해 공공 안전관리에 대한 평가·분석, 실사구시 정책 방안 도출, 중장기 비전과 근본적인 대안 마련 등 도민 안전 시스템 혁신에 주도적 역할을 맡기기로 했다.

김 지사는 “관료적 발상의 한계로 안전 정책에 빈틈이 생길 수 있다”며 “혁신단장은 지역을 잘알고 지역에 열정이 있는 분을 모시고, 건축·토목·환경·산업·보건·사회재난 등 각 분야의 민간 전문가와 사회재난 피해 당사자도 참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센서, 빅데이터, 드론, 스마트글라스 등 ICT 기반 스마트 안전관리도 강화하기로 했다.

또 사회재난 대처에 대한 경험과 노하우가 부족한 것이 현실인 점을 고려해 ‘사회재난 합동훈련’도 실시한다.

다양한 유형의 사회재난 위험이 상존하는 다중밀집지역에서 도와 소방본부, 경찰, 학교, 민간이 함께하는 정례적인 합동훈련을 벌이기로 했다.

시스템과 매뉴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작동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대비를 하겠다는 취지다.

김 지사는 대통령 직속의 ‘국민안전자문회의’ 설치를 중앙정부에 촉구했다.

그는 “국민안전은 국가정책의 최우선 순위”라며 “현행 헌법상 대통령 직속 자문기관은 국민경제, 과학기술, 평화통일 등 세 분야인데 국민안전도 이 정도 수준으로 끌어올려야 한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