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심혈관 질환 위험 낮추는 '슈퍼푸드'…이 음식 뭐길래

콩 섭취한 남성, 10년 내 심장질환 위험 44% ↓

과일·어패류도 좋아…여성은 남성보다 효과 적어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이미지투데이




하루에 콩을 많이 섭취하는 성인 남성은 적게 섭취하는 남성보다 10년 내 관상동맥질환(심장질환)에 걸릴 위험이 44% 낮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과일과 어패류를 많이 먹는 남성도 10년 내 관상동맥질환 발생 위험이 각각 33%, 40% 낮았다.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김미현 경일대 식품개발학과 교수는 최근 ‘한국 30세 이상 성인에서 식사 섭취와 프레이밍햄 위험 점수(Framingham risk score)에 의한 10년 관상심장질환 위험과의 연관성: 2019-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이라는 논문에서 이 같이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최신호에도 소개됐다.

심근경색·협심증 등 관상심장질환은 가장 일반적인 심혈관계질환으로, 2020년 국내 10대 사망 원인 중 암에 이어 2위다. 이는 심장 근육으로 가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심장 근육에 혈액 공급이 충분히 이뤄지지 못해 발생한다. 이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한 사망 원인이며 노인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질환 유병률도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관상심장질환의 주된 원인은 죽상 경화성 혈전이다.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으로는 나이·성·유전인자· 고혈압·흡연·이상지질혈증·당뇨병·식사 인자·비만 및 신체활동 등이 있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군집화해 혈관에 미치는 위험을 증가시킨다.

관련기사



연구진은 2019∼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30세 이상 성인 남녀 8000명(남 3382명, 여 4618명)을 대상으로 식품 섭취와 관상동맥질환 발생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김 교수는 성인 남녀의 10년 내 관상동맥질환 위험을 예측하기 위해 프레이밍햄 위험 점수(Framingham risk score)를 매겼다. 이 점수는 미국 프레이밍햄에서 수행된 역학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각자의 나이·성별·총콜레스테롤 농도·HDL콜레스테롤 농도·고혈압 혹은 고혈압 약제 복용·흡연 여부를 점수화 해 향후 10년 내 관상심장질환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것으로, 실제 의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김 교수는 콩·과일·어패류 섭취량을 기준으로 연구 대상자를 ‘상(가장 많이 섭취)’, ‘중’, ‘하(가장 적게 섭취)’ 세 그룹으로 분류했다.

그 결과 콩 섭취량이 가장 많은 남성은 가장 적은 남성보다 10년 내 관상심장질환 위험에 걸릴 위험이 44% 낮았다. 과일과 어패류 섭취량이 ‘상’인 성인 남성은 ‘하’인 남성보다 10년 내 관상동맥질환 발생 위험이 각각 33%, 40% 낮았다.

콩과 과일 섭취량이 가장 많은 여성도 가장 적은 여성보다 10년 내 관상동맥질환 발생 위험이 낮았지만, 통계적으론 그 차이가 성인 남성만큼 뚜렷하지 않았다.

김 교수는 “관상동맥질환 예방을 위해선 체중조절과 활동량 증가 등 생활 습관을 개선하고 적절한 식품과 열량 섭취, 특히 항산화 영양소와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한 콩·과일·어패류를 최적의 양으로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정미경 인턴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