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美 최초 80대 대통령 바이든, 생일 전날 손녀 결혼식…'팔순은 잊어줘'

생일 전날 백악관서 손녀 결혼

'나이 조명 받지 않으려는 치밀한 계산'

재선 도전에 '고령 리스크' 민감해

바이든 재출마 여부 내년 초 확정

20일(현지 시간) 80세 생일을 맞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친지들에게 둘러싸여 케이크의 촛불을 끄고 있다. 질 바이든 공식 트위터20일(현지 시간) 80세 생일을 맞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친지들에게 둘러싸여 케이크의 촛불을 끄고 있다. 질 바이든 공식 트위터





2024년 대선 출마를 노리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 시간) 80세 생일을 맞아 미국 역사상 최초의 현역 80대 대통령이 됐다. 고령인 바이든 대통령의 재선 도전을 둘러싼 논란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외신들은 바이든 대통령이 이날 질 바이든 여사가 주최한 조촐한 브런치파티에서 80번째 생일을 기념했다고 전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미국의 최고령 대통령이 새로운 이정표를 세운 가운데 본인은 물론 그 누구도 성대한 축하를 원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전날 백악관에서 손녀 나오미 바이든의 결혼식이 치러진 것을 두고도 그가 차기 대선 때 고령이 걸림돌로 작용할 것을 우려해 자신의 생일을 다른 화제로 덮으려 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 측근은 CNN에 “결혼식 타이밍은 우연이 아니었다”며 “나이 문제는 바이든이 가장 부각되지 않기를 원하는 주제”라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재출마 의사를 밝힌 가운데 고령은 그의 최대 약점으로 꼽힌다. 차기 대선이 치러지는 2024년에 82세, 당선될 경우 임기 말 86세라는 나이는 미국 지도자로서 큰 부담이 되는 것이 사실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중간선거에서 민주당이 예상 외로 선전한 덕분에 출마를 뒷받침할 정치적 기반을 쌓았지만 과거 ‘치매설’이 제기될 만큼 잦은 말실수와 느려진 거동 등으로 잃은 유권자들의 신뢰를 상쇄하기에는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의 재선 도전에 반대하는 여론의 대부분이 ‘고령’ 또는 ‘건강 상태 우려등을 이유로 꼽는다.

최근 정치계에 부는 세대교체 바람으로 바이든 대통령이 나이에 더욱 민감해졌다는 평가도 있다. 중간선거에서 첫 ‘Z세대’ 하원의원이 탄생했고 최근 “새로운 세대를 위한 시간이 왔다”고 선언한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에 이어 스테니 호이어 원내대표, 짐 클라이번 원내총무 등 80대인 민주당 지도부 1~3위가 줄줄이 퇴진 의사를 밝혔다. 언론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공화당 대선 후보로 확정될 경우 결국 민주당도 그의 정적인 바이든 대통령을 내세울 것으로 관측하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 역시 고령을 이유로 안팎에서 불출마 압력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NYT는 “펠로시의 퇴진과 바이든의 기념비적 생일이 노인 정치에 대한 관심을 재차 불러일으켰다”고 평했다.


장형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