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이슈

디지털 업사이클 소재뱅크 '업물상', 메타버스 ESG 전시·박람회 성료

업사이클 축제 '2023 업물상 페스티벌', 다채로운 프로그램과 이벤트로 호응




지난 1월 17일부터 19일까지 3일간 국내 첫 업사이클 관련 메타버스 ESG 전시·박람회가 개최, 큰 호응을 얻으며 성료됐다. 업사이클의 산업 확장 및 대중화를 위해 탄생한 ‘업물상’이 플랫폼 론칭을 기념해 개최한 ‘2023 업물상 페스티벌’이다.

‘업물상’은 멸종위기 동물을 구하고 그들의 서식지인 숲을 복원하는 것을 핵심 가치로 둔 국내 소셜벤처기업 ‘퍼뷸러스(Pawbulous Design Studio)’가 운영하는 플랫폼이다. 업사이클 만물상을 의미하는 이름으로 명명됐으며, 순환경제 비즈니스와 친환경 디자인 프로젝트가 실현되는 업사이클 소재 거래플랫폼으로 론칭됐다.


한국환경산업협회와 창업진흥원의 후원과 함께 진행된 이번 행사는 코로나19 여파 속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됐다. 향후 오프라인과의 병행 개최를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의 희망과 도전에 대한 새로운 길을 제시할 예정이다.

본 행사의 수익금은 퍼뷸러스의 3 프로젝트 기금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국내 유기견을 구조·보호하는 동물보호단체 ‘헬로우프린스’, 아시아의 유일한 열대우림 수마트라 숲을 복원하는 환경단체 ‘Care Now’, 국내에서 노후화된 폐소방차와 응급차를 정비하여 기후위기지역에 지원하는 국제소방안전교류협회와의 업무협약을 맺고 진행 중이다.


행사에서는 업사이클된 폐교를 형상화한 업물상 소재뱅크에서 8개 카테고리(폐그물, 폐플라스틱, 폐비닐, 자투리 가죽, 자투리원단, 폐석분, 폐목재, 비건가죽)의 업사이클 가능한 폐자원 소재가 소개 및 거래됐다. ESG경영 기업관에서는 ESG경영 활성화를 실현하는 다양한 기업들이 참여, 윤리적이고 가치 있는 소비를 지향하는 그린슈머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관련기사



△친환경 소재와 저탄소 임가공 방식의 핸드메이드 패션브랜드 ‘스타일바이미인’의 ㈜에스비엠코리아 △친환경 소재와 독특하고 사랑스러운 디자인의 유아 내의를 선보이는 ㈜더스타일리쉬 △재활용 의류 전문 수출기업 현대E.I. △폐한복을 업사이클하는 브랜드 Seeming(씨밍) △업계 최초 친환경 대체소재로 제품을 개발 중인 하이엔드 골프 브랜드 보그너의 ㈜보그인터내셔날이 ESG 패션관에 입점했다.

ESG소재관에는 △탄소배출 경감과 환경오염 방지 관점 및 강도와 화재에 뛰어난 주택과 빌딩건축 친환경 소재를 개발하는 ㈜지이티코퍼레이션 △생분해성 어망추와 제방블럭, 부자 등을 개발하는 환경가치 생산기업 ㈜서광 △리사이클 원료로 패딩에 들어가는 다운소재 및 물을 거의 쓰지 않는 가공방식으로 안감 및 심지 등을 제조하는 ㈜이스트한 △코르크 원료를 활용해 목재 및 플라스틱 등 기존 고탄소배출 소재를 대체해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가능한 소재를 만드는 ㈜이에이머터리얼이 참여했다.

영화관에서는 환경영화제 출품 다큐멘터리 영화 ‘Life Project’가 방영됐으며, 에티오피아에서 현지인들과 우물을 만들며 다큐멘터리 필름을 제작하고 있는 Dwayne Peachy 감독이 라이브로 무대에 참여했다.

이밖에 라이브 퀴즈쇼&토크쇼, 업사이클 뮤직 공연 및 퍼포먼스, 소재거래를 위한 프라이빗 비즈니스 상담관, 2023년 신년운세관 및 환경테마 게임관, NFT 전시관, 디지털 아트 갤러리, 업사이클 웹툰관 등 다채로운 콘텐츠로 업사이클 관련 정보를 전하고 볼거리와 재미를 선사했다.

퍼뷸러스 유보라 대표는 “친환경이 중시되며 다양한 산업분야의 소재기업부터 제품 브랜드들이 환경 관련 마케팅 활동과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며, “대량생산에서 폐기로 이어지는 선형경제에서 벗어나기 위한 지속가능한 미래를 실현할 솔루션이 바로 업사이클인 만큼, 업물상의 전시·박람회 축제는 계속될 것”이라고 전했다.




김동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