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중고차 가격 폭락 끝…바닥 찍고 2월 안정세"

직영중고차 플랫폼 케이카(K Car) 2월 시세 전망

전월 시세 대비 낙폭 줄어…시장 안정화 예상

현대 그랜저 IG·팰리세이드 등 강보합




현대차 그랜저 IG. 사진제공=현대차현대차 그랜저 IG. 사진제공=현대차




펠리세이드. 사진제공=현대차펠리세이드. 사진제공=현대차


중고차 가격이 이달 들어 고객 선호도가 높은 주요 모델을 시작으로 바닥을 찍고 점차 안정화에 접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3일 국내 최대 직영중고차 플랫폼 기업 케이카(K Car)가 국내 중고차 시장에서 유통되는 출시 12년 이내 740여개 모델을 대상으로 평균 시세를 분석한 결과 매월 국산·수입차 모두 평균 2%대의 하락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중고차 시세의 급락세가 진정되고 바닥을 다질 것이란 얘기다. 케이카는 전월 대비 국산 중고차의 하락률은 2.7%, 수입차의 하락률은 2.9%로 전망했다.

관련기사



중고차 시세는 감가상각이 반영되기 때문에 매년 우하향 곡선을 그린다. 일반적인 환경에서는 매월 하락률이 1.5% 내외지만 최근 2년간은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에 따른 신차 출고 대기 지연과 고금리 여파로 하락률이 컸다.

자료제공=케이카자료제공=케이카


케이카는 고객들의 선호도가 높은 인기 차종들의 하락률이 크게 줄면서 중고차 시세도 안정세로 접어들 것으로 예측했다. △현대 그랜저 IG(0%) △제네시스 G80(-0.1%) △현대 팰리세이드(-0.1%) △기아(000270) 쏘렌토 4세대(-0.6%) 등 국산 베스트셀러와 △메르세데스 벤츠 C클래스 W205(0%) △메르세데스 벤츠 E클래스 W213(0%) △BMW X3 F25(0%) △BMW X5 F15(0%) 등 수입 인기 차종이 강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페이스리프트나 풀체인지로 모델이 출시된 차량의 경우 시세 하락폭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차량은 할인·프로모션 등으로 인해 더 합리적인 금액대가 된 차량들이다. 최근 풀체인지가 출시된 현대 코나의 시세 하락률이 4.6%로 가장 크고, △현대 아반떼AD(-3.9%) △기아 올 뉴 카니발(-3.3%)가 뒤를 이었다. 수입차 중에서는 △BMW 5시리즈 F10(-5.1%)가 가장 크게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조은형 케이카 PM1팀 애널리스트는 “추운 겨울 동안 중고차 시세 하락을 견디던 시장이 곧 다가올 2,3월 성수기를 기대하며 보합세가 강해질 것"이라며 “이미 중고차 구매 적기로 판단한 많은 소비자들로 인해 주력 모델을 필두로 회전율이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