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국내증시

"반도체 실적 회복 본격화…코스피 3000 넘본다"

■전문가가 본 하반기 증시 향방

美 긴축 종료 긍정적 전망까지

지루한 박스권 탈피 오름세 점쳐

"횡보 후 반등" vs "상승 뒤 조정"

상승 시점 놓고는 의견 엇갈려





이달 2600 중반까지 오르던 코스피가 2500 후반으로 다시 주저앉자 하반기 증시를 나흘 앞둔 개인투자자들의 마음이 바빠지고 있다. 증시 수급의 키를 쥔 외국인과 기관투자가들이 차익 실현에 나서 상반기 상승장의 혜택을 제대로 누리지 못했기 때문이다. 무더기 하한가 사태도 잇달아 개인들의 투자심리를 억눌렀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하반기 증시에 긍정적인 시그널들이 감지된다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미국의 긴축 사이클 종료와 반도체 업종의 실적 반등에 힘입어 코스피가 지루한 박스권을 탈출해 3000 선도 넘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반도체와 바이오 업종에서 유망 종목을 찾을 것도 권했다.

서울경제신문이 26일 전문가 5명을 대상으로 하반기 증시 전망을 심층 인터뷰한 결과 응답자들은 상승장을 예상하면서도 시점을 놓고는 ‘횡보 후 반등’과 ‘상승 후 조정’으로 의견이 엇갈렸다. 김지산 키움증권 리서치센터장은 “3분기 횡보 후 4분기부터 본격적인 상승 추세에 진입할 것으로 본다”면서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기업 실적이 회복돼 외국인의 ‘바이코리아’ 기조도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현준 더퍼블릭운용 대표도 “경기 사이클상 3분기 저점을 통과해 본격적인 상승기로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코스피가 최고 3300포인트까지 오를 수 있다고 기대했다. 이병건 DB금융투자 리서치센터장은 “세간의 우려와 달리 하반기 강세장이 펼쳐질 것”이라며 코스피가 3000 선을 넘어설 수 있다고 봤다. 그는 “미국의 완화적인 통화정책으로 물가 상승률이 떨어져 구매력이 제고되고 거시 악재가 해소되면서 증시가 상승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환율이 증시 상승의 기폭제 역할을 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왔다. 이 센터장은 “연준이 완화적인 통화정책으로 선회할 경우 달러 약세로 미국 금융시장에 머물던 달러가 미국 밖으로 투자처를 찾아 나설 것”이라며 “한국 증시도 달러 수급의 수혜를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서철수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전체적으로 상승 흐름을 타겠지만 연말이 다가올수록 경기 둔화 압력이 강해질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다른 전문가들과 엇갈리는 지점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통화정책이다. 그는 연준이 하반기 추가 금리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증시의 발목을 잡을 것으로 내다봤다. 서 센터장은 “소비자들의 여유 소비력도 소진되고 있어 상반기 대비 수익률 기대치를 낮게 가져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도 글로벌 경기가 악화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며 기대감을 낮출 것을 권했다. 김 센터장은 “반도체 업황 개선에 대해서는 공감하지만 나머지 영역은 불확실성이 크다”면서 “중국의 경기가 회복할 가능성이 있지만 미국의 경기 하강 여지가 남아 있어 상반기보다는 조정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매수 전략에 대해서는 긴 호흡을 강조했다. 실적이 뒷받침되는 우량주 매수를 우선으로 꼽았다. 서 센터장은 “기대 수익을 낮추고 변동성 관리에 주의하며 성장주 중에서도 실적이 뒷받침되는 퀄리티 주식을 사들여야 한다”고 했다. 김학균 센터장은 박스권을 염두에 두고 배당주에 주목할 것을 권했다. 그는 “10년간 코스피 연간 수익률이 2% 안팎인 점을 고려하면 배당을 3%만 받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초과 성과를 낼 수 있다”고 말했다.

주가 상승 가능성이 큰 업종으로는 반도체와 바이오·2차전지 등 성장 업종이 꼽혔다. 김지산 센터장은 “반도체·바이오·방산주를 긍정적으로 본다”며 “3분기 변동성 구간을 활용해 8월 말~9월 중 매수하는 것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김현준 대표는 경기 사이클에 예민한 조선과 기계 업종의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면서 자동차·건설 부문을 선호주로 제시했다. 김학균 센터장은 “제약·바이오주의 경우 증시에서 오랜 기간 소외돼 바닥을 다진 상태”라며 바이오주의 반등을 예상했다. 서 센터장은 전기차 가치사슬에 포함된 우량주들을 지목했다. 그는 “북미 전기차 보급율이 아직 낮은데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영향으로 중국 배터리와의 경쟁 강도도 낮아질 것”이라며 “미국 환경보호국(EPA)이 배기가스 배출 규정을 강화해 정책적 지원도 가세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동희 기자·양지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