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중동 전쟁에 홍해 선박 공격만 15번…이란 "후티 배후 아냐"

美 "인도양서도 이란이 민간선박 드론 공격"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지원을 위해 연료를 싣고 수에즈 운하로 향하던 이라크 유조선이 21일(현지시간) 이라크 바스라 항구에 정박해 있다. 예멘의 친이란 반군 세력인 후티는 수에즈 운하가 있는 홍해 항로에서 여러 차례 상선 공격을 벌였다. 연합뉴스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지원을 위해 연료를 싣고 수에즈 운하로 향하던 이라크 유조선이 21일(현지시간) 이라크 바스라 항구에 정박해 있다. 예멘의 친이란 반군 세력인 후티는 수에즈 운하가 있는 홍해 항로에서 여러 차례 상선 공격을 벌였다. 연합뉴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하마스 간 전쟁 이후 중동 지역 내 긴장이 고조되면서 홍해를 지나는 선박들이 15번째 공격을 받았다. 미국은 예멘의 친(親)이란 반군 후티의 배후로 이란을 지목한 가운데 이란 측은 이를 공식 부인했다.

후티는 23일(현지시간) 홍해 위에서 미국 군함과 민간 선박을 향해 미사일과 드론 공격을 가했다. 이스라엘군의 가자지구 공격에 대응한다는 명분으로 홍해를 지나는 선박들을 위협한 것은 이번이 14·15번째 일이다.



미군 중부 사령부는 이날 후티 반군 통제 지역에서 대함 탄도 미사일 2발이 홍해 남부의 국제 항로로 발사됐다고 밝혔다. 이 미사일의 영향을 받은 선박은 보고되지 않았다. 미 중부 사령부는 현지시간 기준으로 오후 3∼8시 아이젠하워 항모전단 소속 USS 라분 구축함이 홍해 남부를 순찰하다가 후티 반군 통제 지역에서 발사돼 날아오던 무인 항공기 4대를 격추했다고도 발표했다. 부상자나 피해는 없었다.

관련기사



미 중부 사령부는 또 오후 8시께 홍해 남부에서 후티 반문의 단방향 공격을 받고 있다는 선박 2척의 보고를 받았다고 덧붙였다. 해당 선박은 각각 노르웨이 선적에 소유·운항 주체도 노르웨이인 유조선, 인도 선적에 가봉 소유의 유조선이었다. 피해 규모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10월 17일 이후 14·15차 상선 공격이었다. 홍해 주변 해역의 위험이 커지면서 해운업체들은 울며 겨자 먹기로 항로를 바꾸고 있다. 많은 선박이 지중해와 홍해를 잇는 수에즈 운하를 통하지 않고 아프리카 주변으로 돌아 가면서 비용 부담도 커지고 있다.

영국 해군 해사무역기구(UKMTO)도 이날 홍해 끝자락 바브엘만데브 해협의 선박 근처에서 무인항공시스템(UAS)이 폭발했다며 해당 지역을 지날 때 주의하라고 당부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UKMTO는 권고문에서 “해당 선박에 손상은 없으며 승무원은 모두 안전하다”며 “당국이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바브엘만데브 해협은 너비 26㎞로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항로 중 하나다. 전세계에서 소비되는 원유의 5분의 1이 이곳을 지난다.

같은 날 인도양 해상에서도 민간 상선이 드론 공격을 받았다. 미 국방부는 성명에서 이날 오전 10시 인도 해안에서 200해리(약 370㎞) 떨어진 인도양에서 한 상선이 이란에서 날아온 단방향 드론의 공격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 상선은 선적은 라이베리아, 소유는 일본에 운항은 네덜란드가 하는 화학제품 운반선이었다. 인명 피해는 없었고 잠시 발생한 선상 화재 곧 진화됐다. 미 국방부는 2021년 이후 이란의 7번째 상선 공격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은 이 공격의 배후에 이란이 있다고 보고 후티 반군의 자금줄을 죄는 제재를 발표하고 홍해 안보를 위한 다국적 해군 함대를 창설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란은 이에 대해 후티 반군의 공격 배후에 자국이 있다는 미국의 주장을 부인했다. 로이터는 현지 반관영 메흐르 뉴스 통신을 인용해 알리 바게리 카니 이란 외무부 차관이 이날 홍해상 후티 반군의 작전에 이란이 관여됐다는 미국의 주장을 부인했다고 보도했다. 바게리 카니 차관은 “후티 반군은 자체적인 권력 도구를 갖고 있으며 그들의 결정과 능력에 따라 행동한다”고 주장했다.


이태규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