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우상호 “‘밀실’ 비례대표 공천, 혁신과 거리 멀어”

“공천 과정 착잡하게 지켜봐”

“제도 바꿀 땐 사유 설명할 책임 있어”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 연합뉴스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의 4선 중진으로 일찌감치 4·10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우상호 의원이 최근 공천을 둘러싼 당내 잡음과 비례대표 공천 과정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 “일부 납득하기 어려운 사안들이 반복해 발생하는 것에 대해 지도부의 설명을 정중하게 요청한다”고 밝혔다.

우 의원은 4일 ‘비례대표 공천 절차에 대한 당 지도부의 설명을 요청합니다’라는 이름의 입장문을 내고 “최근 민주당 내의 공천 과정을 착잡한 심정으로 지켜봤다. 시스템 공천의 핵심 정신인 투명성과 공정성이 일부 훼손됐다는 지적이 타당하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우 의원은 “어차피 공천을 받는 사람과 탈락한 사람이 있을 수밖에 없지만 그 사유는 설명될 수 있어야 하고 그래서 제3자들이 납득할 수 있어야 한다”며 “투명성의 문제”라고 짚었다.

관련기사



또한 “어떤 공천 기준을 만들었다면 적용의 일관성이 있어야 공정하다는 평가를 받는다”면서 “이 사람에게 적용한 잣대를 비슷한 경우의 다른 사람에게 적용하지 않는다면 공정하다고 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헌당규 상 규정한 기준에 미흡하거나 국민의 상식에 미달하는 후보가 아니라면 당선 가능성이 제일 높은 사람을 공천해야 한다”며 “당선 가능성이 높은지 여부는 해당 지역의 당원과 유권자 의견을 기초로 판단하는 것이 시스템 공천의 원칙”이라고 강조했다.

우 의원은 “4년 전 비례대표 공천관리위원장을 맡은 사람으로서 지적해야 할 일이 생겼다”면서 “(4년 전과 달리) 이번에는 전당원 투표와 중앙위원 투표를 하지 않고, 전략공관위의 심사로 결정한다고 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이 방식은 밀실에서 소수가 후보를 결정하는 과거의 방식으로 혁신과 거리가 멀다”며 “당원들의 권리를 확장한다는 목표를 세운 이번 지도부가 왜 이런 자의성이 개입될 방식을 결정했는지 설명이 필요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당의 제도는 많은 성공과 실패의 과정 속에서 정착돼 온 역사가 있으며 무수한 당내 투쟁을 통해 개선돼 왔다”며 “제도와 규칙을 바꿀 때도 당내 구성원들에게 분명한 사유를 밝혀야 할 책임이 지도부에 있다”고 덧붙였다.


정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