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분양

공사비 급등에…서울 정비사업 경쟁입찰 '0'

◆'선별수주' 강화하는 건설업계

올 사업장 12곳 복수참여 전무

두 번 유찰땐 수의계약으로 전환

건설사 "사업성 악화에 부담 커"





올해 서울 재건축·재개발 사업장의 시공사 선정 과정에서 경쟁 입찰이 전무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공사비 급등으로 사업성을 확보하기가 어려워지자 건설사 1곳만 응찰하거나 아예 입찰 업체가 없는 사업장이 속출했다. 2회 이상 경쟁 입찰이 성립되지 않으면 조합은 수의계약을 진행할 수 밖에 없다. 건설 경기가 살아나지 않는 이상 건설사들이 수의계약으로 ‘무혈 입성’하는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4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올 들어 이날까지 시공사 선정 입찰을 1회 이상 마감한 서울 재건축·재개발 사업장(가로주택정비 등 소규모 사업 제외)은 강남구 개포주공5단지, 강동구 천호우성, 동작구 노량진1구역, 동대문구 장안현대아파트, 서초구 신반포12·16·27차, 송파구 가락미륭·가락삼환·가락삼익·잠실우성4차, 용산구 산호아파트까지 총 12곳이다. 이 중 시공사 선정 입찰에 복수의 건설사가 참여한 사업장은 단 한 곳도 없었다. 현행법상 정비사업의 시공자 선정은 경쟁 입찰이 원칙이기 때문에 입찰에 참여한 시공사가 없거나 한 곳이면 자동 유찰된다. 두 번 유찰되면 수의계약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사업장은 두 번째 입찰에서 참여 의사를 밝힌 시공사가 한 곳일 경우 수의계약을 체결하려는 추세다. 가락삼익은 현대건설, 가락삼환은 DL이앤씨, 신반포12차와 27차는 각각 롯데건설· SK에코플랜트 등과 수의계약을 추진하고 있다. 앞서 포스코이앤씨를 수의계약 대상자로 정한 노량진1구역은 오는 27일 조합원 총회에서 시공사 선정을 확정 지을 예정이다. 2차 입찰을 진행 중인 장안 현대아파트는 최근 HDC현대산업개발과 호반건설이 입찰참여확약서를 제출해 경쟁이 펼쳐질 가능성도 있으나 결과를 예단하기 어렵다. 조합 관계자는 “1차 입찰 때도 현장설명회 이후 여러 업체가 입찰 의향을 밝혔지만 실제로는 한 곳만 응찰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시공사들의 보수적 수주는 어제 오늘 일은 아니지만 경쟁 기피 경향은 건설 경기 위축이 본격화한 올해 더 뚜렷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로 최근엔 한강 조망권을 갖춰 ‘알짜 입지’로 평가되던 용산 산호아파트의 1차 입찰이 무응찰로 끝난 바 있다. 건설사들이 수익성이 나오지 않는다고 판단을 한 것이다. 현재 조합은 2차 입찰 공고를 낸 상태다.

한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중층 이상 단지의 재건축은 공사비 급등으로 인해 사업성이 예전보다 악화한 상황”이라며 “입지가 좋은 서울 사업장이라 하더라도 홍보비를 들이면서까지 출혈 경쟁을 할 동인이 약해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요즘은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위기로 현금 확보 중요성이 커졌는데 사업장마다 입찰 보증금으로 100억 원의 현금을 요구하는 것도 부담”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건설사 관계자도 “사업성 확보가 중요해지다 보니 올해는 특히 출혈 경쟁을 피하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집계하는 올해 2월 건설공사비지수는 154.81로 작년 2월 대비 2.53%, 2021년 2월 대비 24% 올랐다.

이처럼 경쟁 입찰을 보기 힘들어지면서 건설사와 정비사업 조합 간 수의계약 확산은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최황수 건국대 부동산대학원 겸임교수는 “지금처럼 수의 계약이 일반화하면 사업 조건을 논의할 때 조합의 협상력이 떨어질 수 있고 공공이 개입해 공사비를 검증하기에도 한계가 있다”며 “건설사 입장에서도 선별 수주를 우선시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 물가, 금리 등의 거시 경제 환경이 나아지지 않는 이상 지금 같은 추세는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