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민희진이 돈 벌게 해 준다고"…클릭했다간 '투자 사기' 걸려듭니다

출처=SNS캡쳐출처=SNS캡쳐




민희진 어도어 대표와 배우 송중기 등 유명인의 얼굴 사진과 허위사실을 담은 가짜뉴스로 클릭을 유도해 투자 광고 사이트에 접속하게 하는 ‘사칭 기사’ 방식의 피싱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16일 페이스북 등 SNS에는 ‘한국은행, 민희진 생방송에서 한 발언에 대해 고소’라는 제목의 가짜 기사가 대거 확산하면서 네이버는 이 페이지에 대해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접속차단’을 요청했다.

관련기사



기사 링크를 클릭하면 한 신문 매체의 네이버 페이지와 비슷하게 생긴 주소로 연결된다. 해당 기사에는 ‘저희는 KBS 채널의 독점 인터뷰에서 잘려나간 장면을 입수했습니다’라는 부제목이 달려 있다. 지난달 31일 민희진 어도어 대표가 KBS ‘뉴스9’에 출연해 박장범 앵커와 대화를 나누는 사진이 첨부됐다.

일반 신문 기사와 비슷하지만 문장은 어색하고 신뢰하기 힘든 내용이 담겨있다. 이 가짜뉴스에는 민 대표가 앵커에게 “휴대전화 줘 보세요. 돈 벌게 해드릴게요. 방금 휴대폰으로 Trade iPlex 360에 가입시켰어요. 이 플랫폼은 빨리 부자가 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100% 완벽한 솔루션이다. 돈 못 버는 게 이상하다”고 말했다고 적혀 있다. 또 “운 좋게 이 글을 읽으셨다면 민 (대표가) 직접 당사에 제공한 링크를 확인해 달라”며 투자 유도 사이트 링크가 게재됐다. 이 내용은 모두 거짓으로, 전형적인 가짜뉴스다. 이 페이지는 해당 신문 매체의 네이버 페이지를 사칭해 제작된 것으로 파악됐다.

유명인에 대한 가짜뉴스를 만들어 피싱 사이트 접속을 유도하는 사기 수법은 이전에도 존재했다. 지난 1월에도 ‘한국은행, 송중기 생방송에서 한 발언에 대해 고소’라는 제목의 거짓 기사가 각종 SNS에서 확산했다. 민 대표 사례와 같이 결국 투자 유도 사이트를 홍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내용은 모두 거짓이었다.

논란이 일자 페이스북 운영사 메타는 지난 4월 “정책을 위반하는 계정·페이지·광고를 정지·삭제하는 등 단속을 대폭 강화했다”고 밝혔다.


박윤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