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업 “기간길고 자금 막대 소요”참여 기피/항만 민자유치“표류”

◎인천북항 사업신청 2곳뿐/평택항은 건설추진 불투명인천북항, 아산(평택)항 등 대규모 민자유치 항만개발사업들이 시작도 하기전부터 표류하고 있다. 이는 기업들이 경기침체로 자금사정이 악화돼 사업기간이 길고 막대한 자금이 소요되는 항만개발 참여를 기피하고 있으며 사업자로 선정된 기업들도 사업추진을 미루고 있어 차질이 예상되고 있다. 오는 2001년까지 민자 1천7백60억원을 포함, 총사업비 3천4백28억원을 투자해 고철부두 3개선석과 원목부두 2개선석을 건설하는 인천북항 1차사업이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18일 사업자신청을 마감한 결과, 고철부두에는 인천제철이 2개선석, 동국제강이 1개선석을 신청했으나 원목부두에는 아예 신청기업이 없었다. 당초 대성목재와 삼미가 원목부두에 대해 사업의향서를 제출했으나 모기업의 부도로 사업참여가 무산됐다. 3대 국책항건설 사업의 하나로 오는 2011년까지 39개선석을 건설할 예정인 평택항도 민자사업자들의 부도와 투자기피로 사업추진 자체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일반부두 4개선석 민자사업자로 선정된 포철·한진·대한통운·동부고속·동방 등 5개기업이 지난해 6월 정부로부터 6개월이내 착공을 조건으로 실시계획승인을 받았으나 수익성 불투명 등을 이유로 1년이 넘도록 착공을 미루고 있는 상태다. 이들 5개업체는 최근 정부에 경기침체에 따른 경영악화로 항만개발에 투자할 여력이 없다며 1사당 4백억원의 재정융자를 신청했다가 거부당했다. 평택항 모래부두 6개선석 사업도 마찬가지다. 지난 93년 한국골재 등 6개 골재채취업체가 사업자로 지정됐으나 주관사인 한국골재가 자금난 등을 들어 사업허가를 취소해 줄 것을 해양부에 요청한 상태다. 또 기아자동차가 9백20억원을 들여 오는 99년까지 건설키로 한 5만톤급 2개선석은 기아그룹이 부도유예협약 대상기업으로 선정되는 바람에 계획추진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해양부는 이들 업체가 착공을 지연시키거나 부도 등으로 사업추진이 힘들 경우 사업자 지정 취소를 하겠다고 밝히고 있지만 마땅한 후속 사업자가 없어 주저하고 있는 상황이다. 해양부 관계자는 『민간기업들은 정부의 재정지원 확대를 요구하고 있으나 정부로서도 한계가 있어 보조금지급등의 유인책을 제시하기 어려운 실정』이라며 『경제가 회복돼 기업들의 자금사정이 좋아지지 않을 경우 내년의 포항·울산 신항의 사업자선정도 난항을 겪을 것같다』고 우려했다.<이학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