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중기청, 상생협력지수 연구용역비 날려

상생협력 개념정립 되지 않은 상태서 '헛 연구'

중소기업청이 상생협력에 대한 개념 정리없이 부적절한 지표로 상생협력지수를 산출하는 바람에 연구용역비를 허비했다는 지적을받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중기청은 지난해 9월 1억원을 주고 중소기업연구원에 대.중소기업상생협력 지수 개발 및 산출에 관한 연구용역을 맡겼다. 연구원은 올 1월에 용역을 마치고 자동차와 전자업종 분야의 상생협력 지수를 도출했으며 중기청은 보완을 거쳐 늦어도 2월께는 용역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청의 상급기관인 산업자원부에서 상생협력지수 발표를 총괄키로 함에 따라 연구용역 자료 등이 산자부로 넘어갔지만 산자부는 2개월이 넘도록 지수를 발표하지 않고 있다. 산자부 관계자는 "지금은 상생협력의 개념에 대해 정립하고 있는 수준"이라면서"개념정립이 끝난 하반기에야 상생협력지수에 대해 연구.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전했다. 그는 중기청의 연구용역 결과에 대해 "앞서 간 감이 있다"면서 "상생협력에 대한 기본 개념이 정립되지 않은 상태서 지수를 만들다 보니 기업들이 수긍하기 어려운 지표를 사용한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대.중소기업 모두가 수긍할 수 있는 상생협력 발전모델에서 추출된 지수를 토대로 연구용역을 통해 다시 상생협력지수를 산출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산자부측 설명대로라면 상생협력지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상생협력에 대한 개념을 먼저 세워야 하는데 중기청이 이런 절차를 무시해 연구용역비만 날린 셈이다. 이에 대해 중기청 관계자는 "중소기업연구원이 도출한 상생협력지수에 부적절한 지표가 사용됐다는 지적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 "당시 여러 용역과제를 한꺼번에 발주했기 때문에 실제 상생협력지수 연구용역비는 1억원이 안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