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삼성·LG그룹 상장사 이익 악화 '주범'

상장사의 지난해 실적이 악화된 가운데 10대그룹 중에서는 삼성과 LG그룹이 이익 감소를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증권선물거래소가 발표한 12월 결산 상장사의 2005사업연도 실적자료에 따르면 10대 그룹 계열사의 매출액은 311조5천590억원으로 4.99% 늘었지만 순이익은 23조2천122억원으로 14.94% 줄었다. 10대 그룹 가운데 현대차, SK, 롯데, GS, 현대중공업 그룹의 실적이 호전된 반면, 삼성, LG, 한진, 한화, 금호아시아나 등의 수익성은 큰 폭으로 악화됐다. 특히 삼성은 지난해 매출액이 89조607억원으로 전년에 비해 0.27% 줄었고, 순이익은 8조4천639억원으로 29.39% 급감했다. 이 가운데 시가총액 1위 삼성전자는 매출액이 57조4천576억원으로 0.30%, 순이익은 7조6천402억원으로 29.17% 각각 감소하며 그룹 실적 악화에 큰 영향을 줬다. 또 삼성전기는 적자로 돌아섰고, 삼성SDI의 순이익은 67.63%나 급감하는 등 정보기술(IT) 관련 계열사의 부진이 그룹 전체 실적에 큰 부담이 됐다. LG그룹의 매출액은 50조7천910억원으로 소폭(0.79%) 늘었으나 IT 관련 계열사 부진으로 순이익은 2조703억원으로 2004년의 절반 가까이로 줄었다. 이는 패널 가격 하락과 경쟁 심화와 환율 영향으로 주요 계열사인 LG필립스LCD의 순이익이 68.77%, LG전자 순이익이 54.54%나 줄었기 때문이다. 삼성.LG를 제외한 나머지 8대그룹의 순이익 규모는 13.3%나 늘어났고, 10대 그룹이 제조업 전체 순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4.5%에 달한다는 점을 감안하면이들 두 기업이 전체 상장사 실적 악화의 주범이 된 셈이다. 이 밖에 한진, 한화, 금호아시아나 등도 유가상승과 환율하락 지속에 따른 악영향으로 부진한 실적을 면치 못했다. 한진그룹은 매출액이 14조3천318억원에서 14조5천716억원으로 늘어난데 반해 순이익은 1조2천514억원에서 7천479억원으로 40.24% 급감했다. 이는 유가 상승으로 대한항공 실적이 급격하게 악화된 데 따른 것이다. 한화그룹은 매출액(-2.63%)과 순이익(-15.74%)이 동시에 줄었고, 금호아시아나는 매출액이 13.53%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순이익은 17.33% 감소했다. 반면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매출액이 61조5천817억원으로 4.52% 늘었고, 순이익은 5조161억원으로 30.74%나 늘어 돋보이는 실적 증가세를 보였다. SK그룹 역시 SK텔레콤의 실적 호전 속에 순이익이 4조2천67억원으로 12.6% 늘었고, 롯데그룹은 최근 상장된 롯데쇼핑의 실적이 개선되면서 순이익 규모가 1조3천554억원으로 15.9% 증가했다. LG에서 계열분리된 GS그룹은 매출액이 5조9천257억원으로 36.82% 늘어 10대 그룹 가운데 매출 성장세가 가장 돋보였으며, 순이익도 2천686억원으로 104.67% 증가해 눈길을 끌었다. 이 밖에 현대중공업그룹도 매출이 12조2천897억원으로 두자릿수(16.87%) 성장을기록했고, 순이익은 3천116억원으로 무려 117.9%나 늘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