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대건설 자구안 합의 정부·채권단 반응

현대건설 자구안 합의 정부·채권단 반응 시장불안 해소 계기기대.계열분리 가속화 발판도 정부와 채권단은 지루하게 끌어온 이번 현대건설 사태와 관련, 크게 세가지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를 거두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서산농장 매각을 계기로 만성적인 유동성 부족사태를 끝낼 수 있는 결정적 계기를 마련했고 ▦건설 유동성을 해결키 위해 그동안 시장불안의 잠재요소였던 오너 형제간 불화를 제거할 수 있는 계기를 이끌어냈으며 ▦자구계획과정에서 자연스레 그룹의 핵분열(계열분리)을 앞당길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것이다. 이근영 금융감독위원장은 16일 현대건설 자구안과 관련, "정몽구 현대자동차 회장이 정몽헌 현대아산이사회 회장을 도와주기로 한 것은 그룹 계열분리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또 자신이 지난 15일 밤 취임 당시 자신이 한 발언(개별기업의 오너를 만나지 않겠다)을 어기면서까지 정몽구현대자동차회장을 만난 것도 ▦하루빨리 시장의 불확실성을 없애고 ▦이를 통해 공적자금(국민부담)을 줄이기 위한 차원이라며 '선의의 정부개입'임을 강조했다. 이 위원장은 이어 "그룹 계열사간에 계열분리를 했다고 해서 아무 거래도 못하는 것은 아니며 너무 흑백논리로 가는 것은 곤란하다"며 몽구회장의 현대건설 지원을 인정하고, "그러나 계열사간 불공정 거래는 앞으로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와 채권단은 유동성 문제해결을 위한 자구안과 별도로 그룹 투명성을 지속해서 확보키 위해 당분간은 현대에 대한 압박이 불가피하다는 입장도 지니고 있다. 즉 현대가 시장내 투명성을 완벽하게 구축할 때까지는 그룹 지배구조개편과 대외홍보 등에 대해 구체적인 이행담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편 채권단은 이번 현대사태가 어느 때보다 만성적인 유동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단초가 될 것으로 보면서도 내심 불만스러움도 간직하고 있는 것으로 감지된다. 현대건설에 대한 처리방향 결정은 물론이거니와 자구협상의 실질적 작업마저 정부를 통해 이뤄져 채권은행은 계속 '들러리' 역할에 그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김영기기자 입력시간 2000/11/16 17:56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