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KBS 역사스페셜, 고조선과 단군신화 실체

KBS 역사스페셜, 고조선과 단군신화 실체남북교류 활성화에 힘입은 각계 인사의 줄이은 방북. 북한측은 남측 손님들에게 예의 단군릉을 자랑스럽게 내보인다. 지난 93년 평양시 대박산 부근의 거대한 능묘에서 기원전 3,000년대의 것으로 판명된 두 구의 인골과 당시 최고 지배자였음을 보여주는 금동왕관이 발굴됐다. 북한은 이곳을 「단군릉」으로 지칭하고, 3대 성역의 하나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다. 북측은 단군을 이렇게 역사로 받아들이고 떠받들지만, 단군신화에 의심을 품는 사람은 여전히 적지않다. 최근 단군상 훼손사건은 그 반감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삼국유사」와 「제왕운기」가 전하는 단군신화는 역사적 사실인가, 가상의 설화일까. KBS 1TV 「역사스페셜」은 고조선과 단군신화의 실체에 접근해보는 2부작 특집을 마련했다. 올해로 4,332주년을 맞는 개천절을 기념하는 프로그램이다. 1편 「비밀의 왕국 고조선」은 오는 30일, 2편 「집중분석! 고조선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나?」는 10월 7일 오후8시에 방송된다. 고조선의 막강했던 국력은 중국의 역사서 「삼국지」와 사마천의 「사기」에서 우선 인정하고 있는 역사상 실제이다. 『중국의 전국시대 연나라는 장수 진개를 파견하여 고조선을 침략하고, 그 서부 2,000리를 빼앗았다.』 (「삼국지」 한전) 『한나라가 육군 5만, 수군 7,000명으로 고조선을 공격했다. 고조선은 이런 병력에 맞서 1년 동안 싸웠다.』 (「사기」 조선열전) 빼앗긴 국토의 서쪽 일부가 2,000리였다니 당시 고조선이 만주 전역을 아우른 대국가였음을 짐작케 한다. 또한 세계 최강 한나라의 강군을 상대로 1년여간 호각지세를 이뤘다는 사실은 고조선이 동북아의 군사적 강대국이었음을 뒷받침한다. 또 「역사스페셜」은 고구려 벽화가 보여주는 우리 민족의 곰 숭배문화, 강화도 전등사와 중국 산둥성에까지 전해지는 단군신화를 추적, 고조선의 건국신화가 역사적 사실을 반영한 것이라는 점을 보인다. 이밖에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돼 있는 비파형 동검, 청동으로 만든 단추 등 유물을 통해 고대 고조선인들이 동북아에서 독자적인 청동기문화를 일구며 한반도와 만주 전지역까지 세력을 미친 대국을 건설한 주역이었다는 주장을 편다. 문성진기자HNSJ@SED.CO.KR 입력시간 2000/09/29 18:04 ◀ 이전화면

관련기사



문성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