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 이익·주가 방어 등 위해 배당 늘리기로 방침 세웠지만
KB금융 등 주요 금융지주 지분 외국인이 3분의 2 이상 소유
"外人 배만 불린다" 비판 걱정… 정치권 배당 자제 압박도 여전
지난해 말 국내 대형 금융사의 한 최고재무책임자(CFO)는 고민에 빠졌다. 제자리걸음을 하는 주가를 방어하기 위해 배당을 늘린다는 내부 방침을 세웠지만 문제는 금융당국이었다. 해당 CFO는 "당시 최경환 기획재정부 장관 겸 부총리가 경제 활성화를 위해 각 기업의 배당 확대를 요구하는 상황에서도 금융사만큼은 열외로 여기는 분위기였다"며 "실제로 금융사에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을 준수하라며 배당을 자제할 것을 우회적으로 압박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이 지난 12일 경제장관회의에서 은행 배당 문제에 일절 간섭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각 은행들은 지난해 말과 같은 분위기가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로 반신반의하는 모습이다. 외국인 지분이 대부분인 국내 금융사들의 배당 확대가 또다시 '국부유출'이라는 논란에 휩싸일 수 있기 때문이다.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배당 확대를 유도하면서도 금융권은 다소 신중해야 한다는 식의 정치권 및 여론의 압박도 여전하다.
실제 각 금융사의 주주 현황을 살펴보면 국내 주요 금융지주 지분 3분의2 이상은 외국인이 소유하고 있다. KB금융의 경우 외국인 지분이 71.6%에 달하며 국내 1위 금융사인 신한금융의 지분 66.7%도 외국인 소유다. KEB하나은행 출범을 앞둔 하나금융의 외국인 지분은 68.6%에 달한다. 신한금융은 지난해 2조811억원에 달하는 당기순이익의 21.6%를 배당금으로 나눠줬으며 KB금융은 당기순이익 1조4,007억원 중 21.5%를 배당했다. 은행이 서민의 예금을 기반으로 한 예대마진 영업을 통해 외국인 주주의 배만 불린다는 식의 비판이 꾸준한 이유다.
국내 대형 은행 고위관계자는 "당국이 간섭을 안 하겠다고 했으니 눈치를 덜 보고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을 것 같지만 국부 유출 등과 관련한 비판 여론이 거세지면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가 될 것"이라며 "결국 타행의 동향을 보고 배당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시중은행들은 여론의 눈총에도 불구하고 배당을 최소한 올해 수준으로는 유지하거나 다소 높여야 한다는 입장이다. 해외에서는 한국계 은행의 낮은 배당성향을 질타하는 목소리가 여전히 높기 때문이다. 금융연구원에 따르면 2010년 기준으로 영국(29.7%), 중국(33.8%), 캐나다(50.8%) 은행들의 배당성향은 한국에 비해 훨씬 높다. 한 금융지주사 고위관계자는 "순이자마진(NIM) 하락으로 은행의 성장성을 담보하기 힘든 상황에서 배당을 낮출 경우 주가 방어가 힘들다"며 "여론의 동향보다는 주주 이익을 우선순위에 놓을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무엇보다 민영화를 추진하는 우리은행의 경우 혹시 모를 '헐값매각' 논란을 없애기 위해 배당을 통한 주가 상승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올해 250원의 중간배당을 하는 등 배당과 관련해서는 상당히 신경을 쓰고 있다"며 "다만 자본적정성을 맞추기 위해 배당을 크게 늘릴 수 없다는 점에서 여론에서 우려하는 수준의 배당은 힘들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