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원·엔 환율 급락… 엔화대출 급증

원.엔 환율이 하락세를 지속하며 100엔당 700원대에 근접하자 엔화 대출도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환위험 관리는 어느정도 이뤄지고 있으나, 감독 당국의 제재 소식이 오히려 엔화대출을 홍보하는 효과를 보이고 있어 편법대출 확대가 우려되고 있다. 18일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달말 국민, 기업, 외환, 우리은행 등 4개 은행의 엔화대출 규모는 6천593억엔으로 지난해말 5천813억엔에 비해 780억엔 늘어났다. 엔화 대출은 지난 2004년말 4천400억엔을 기록한 이후 지난해 6월말 4천325억엔으로 약간 줄어드는 등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지난해 3분기부터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지난해 6월말 450억엔 수준이던 국민은행은 지난달말 1천395억엔을 기록하며 9개월새 3배나 급증했다. 기업은행도 지난해 6월말 1천681억엔 수준에서 지난달말 2천892억엔으로 1천211억엔이나 늘었다. 올들어서 엔화대출이 큰 폭 증가한 것은 원.엔 환율이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인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최대 7~8% 포인트 가량의 대출금리를 아낄 수 있는 데다 덤으로 환차익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9월초 100엔당 930원대였던 원.엔 환율은 지난달말 820원대로 9개월새 13.4% 가량 떨어졌다. 특히 이달 11일에는 805원선까지 하락하며 8년5개월만에 700원대 진입을 눈앞에두기도 했다. 지난해 9월 은행으로부터 당시 930만원에 상당하는 엔화 100만엔을 빌렸을 경우805만원만 갚으면 된다는 의미다. 원.엔 환율이 100엔당 1천10원대였던 지난해 초에 대출했다면 200만원 이상의이자 절감 효과를 볼 수 있다. 최근에는 대부분 통화전환 옵션부로 대출을 받고 있어 원.엔 환율 급등에 따른환차손 우려도 줄어든 편이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고객들은 통화완화 정책을 포기한 일본이 제로금리 정책까지 폐기하더라도 일본의 금리가 급격하게 오르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하는 것 같다"며 "통화전환 옵션에는 수수료가 붙기는 하나, 중도상환 수수료 0.5% 수준에는 못미치쳐 환위험 헤지를 선택하는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감독당국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편법대출 시도가 지속되고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2월 금융감독당국은 개인병원 의사 등의 편법 대출을 적발하고 제재를 가한 바 있다. 이 관계자는 "불법대출이 많이 줄었으나, 일부 고객들은 전문직 개인사업자들의부동산 투자용 엔화대출 소식을 접하고 자발적으로 문의해 오고 있다"며 "감독 사례가 오히려 엔화대출을 홍보하는 효과도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