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日자동차업계 '현지화' 만이 살길

주요 직책에 현지인 인사는 물론 전략수립 과정에도 참여… WSJ "현지화가 성공의 비결"

세계 자동차업계의 가장 치열한 격전장인 미국에서 일본 자동차 업체들이 지속적으로 성공을 거두고 있는 이면에는 현지화 전략이 자리잡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일본 자동차업계를 대표하는 이른바 'J3'인 도요타와 혼다, 닛산이 주요 직책에 잇따라 미국 현지 인력을 받아들이고 있는 것은 물론 제품개발과 전략수립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에 이들을 적극 참여시키는 등 강화된 현지화 전략을 통해 미국시장에서 성공을 이어가고 있다는 것. 도요타는 예전에 일본인에게만 맡기던 공장건설 책임자를 미국인 임원에 넘겼으며 48명으로 구성된 중역회의에도 2명의 미국인을 참여시키고 있다. 닛산도 제품 기획과 글로벌 마케팅과 같은 요직에 미국인을 임명했으며 캘리포니아주에 몰려 있는일본 디자인센터의 핵심인력도 미국 전문가들로 채워졌다. 이같은 현상은 자동차에 대한 취향과 운전조건이 미국과 일본이 판이한 상황에서 현지화만이 성공을 이어갈 수 있는 길이라는 판단을 내렸기 때문이라는 것이 저널의 분석이다. 도요타의 중형승용차 캠리는 미국에서 8번이나 베스트셀러 승용차에 꼽힐 정도로 오랜 기간 인기를 끌고 있지만 정작 일본에서는 판매부진을 보이는 것도 이같은양국간의 자동차 문화 차이에서 비롯된 현상이라는 것. 미국만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면 도태될 수밖에 없는 위기감은 신차 개발에서도 현지화와 미국에 맞는 전용디자인 확대로 나타나고 있다. 혼다는 혼다와 고급 브랜드인 아큐라의 30%를 미국에서 디자인하고 있으며 이렇게 해서 태어난 차량이 아큐라TL이다. 도요타의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인 FJ크루저도 미국인 디자이너의 손에서 태어났다. 도요타는 다음 달 미국 내 판매를 목적으로 개발한 하이브리드 캠리를 선보일계획이며 혼다와 닛산도 픽업트럭인 리지라인과 SUV인 알마다 미국용 모델 개발을마친 것으로 전해졌다. 저널은 도요타가 고급브랜드로 개발돼 미국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렉서스 시리즈를 일본에 역수출한 데 이어 혼다도 아큐라TL을 조만간 일본시장에 내놓을 계획이라면서 일본기업이 미국 내에서 현지화 전략을 강화하면서 미국적인 것이 세계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새롭게 발견하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