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농협은 조합원 권익 찾는 경영체"

새농촌새농협운동 통해 자립경영기반 구축

농협중앙회 정대근(鄭大根) 회장은 "농업협동조합의 이념이 아무리 고귀하다 하더라도 경영체로서 시장에서 살아남지 못하면 무의미하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27일 경남 진주에 있는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관 101강의실에서 교수.학생 등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민경제와 농협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열린특강에서 이같이 밝히고 "조합은 조합원들의 권익을 찾기 위한 운동을 각종 사업을통해 실현하는 경영체"라고 강조했다. 정 회장의 이같은 발언은 최근 농협이 "자기자본 비율 4% 미만 조합 가운데 경영정상화가 어려운 것으로 드러난 조합 등 모두 104개 조합에 대해 합병을 추진하고있다"고 밝힌 시점에 나온 것이어서 주목된다. 정 회장은 "농협은 70년대 상호금융을 실시하고 연쇄점 사업 도입으로 농어가고리채를 혁신적으로 정리하는 등 지난 40여년간 국민경제 발전을 위해 나름대로 많은 역할을 수행해 왔다"며 "이를 통해 영농.가계자금의 원활한 공급이 가능해졌으며농촌 물가안정에 크게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정대근 회장은 또 "농협의 조직이 크고 수행하는 사업도 다양하다 보니 일부에서는 농협을 비판하고 오해하고 있다"고 말하고 "이러한 비판들에 대해 농협이 개선할 부분은 개선해야 하지만 일부 비판은 농협을 잘못 이해하는 부분도 있다"고 지적했다. 정 회장은 "농협은 21세기에도 생존할 수 있도록 제2의 창립정신으로 `새농촌새농협운동'을 벌이고 있다"며 "이 운동이 결실을 보면 일선조합은 조합원에게 실익을 주는 완전 자립경영기반을 구축하고 지역의 경제.금융.문화.복지의 중심이 되는지역종합센터의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회장은 "농협은 앞으로도 농업인의 소득증대와 이 나라 농업.농촌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후손들에게 든든한 생명창고의 열쇠와 활력이 넘치는 아름다운 농촌을 물려줄 수 있도록 국민 모두가 더 많은 성원을 보내달라"고 부탁했다. 정 회장은 1944년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동국대학교 대학원을 졸업(경제학석사)한뒤 2000년 통합 농업협동조합중앙회 회장에 취임했으며 국제협동조합연맹(ICA) 이사,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등을 맡고 있다. (진주=연합뉴스) 지성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