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임종룡 “물가안정이 정부의 가장 중점적ㆍ적극적 정책대응 사안”

임종룡 기획재정부 1차관은 25일 “정부로서는 가장 중점적이고 적극적으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한 분야가 물가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재정부와 한국은행이 이날 처음으로 개최한 거시정책협의회에서 모두 발언을 통해 이 같이 말하고 “정부와 중앙은행은 물가안정을 위해 정책 공조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야 한다”며 “이러한 협의회를 통해 각각 담당하고 있는 거시정책 분야의 적시성과 효과성을 높여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임 차관은 이어 “서로간 인식과 정보를 공유하고 이해의 폭을 넒히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와 한은은 또한 글로벌 경제의 불안요인에 대해서도 적극 점검키로 했다. 임 차관은 “글로벌 경제는 금융위기 이후 경제 환경과 패러다임의 큰 전환기를 지나고 있다”며 “선진국의 재정위기와 성장세 둔화 우려, 신흥국의 인플레이션 문제 확대 등 다양한 리스크가 지속되며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러한 리스크들이 정부와 한은이 면밀히 정책공조를 해야 할 이유라며 “정부와 한은은 필요시 선제적 대응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이주열 한은 부총재는 “국제통화기금(IMF)의 3월 보고서도 정부와 중앙은행간의 협조가 글로벌 스탠더드라고 평가하고 있다”며 “앞으로 매달 정기적으로 협의회를 가져 머리를 맞대고 해결책을 찾자”고 말했다. 이날 협의회에는 재정부와 한은에서 각각 7명씩 총 14명이 참석했다. 재정부 측에서는 임 차관을 필두로 경제정책국장과 국제금융국장, 종합정책과장, 자금시장과장, 국제금융과장, 외환제도과장 등이 자리했다. 한은 측에서는 이 부총재와 함께 조사국장, 국제국장, 금융시장국장, 조사총괄팀장, 국제통괄팀장, 통화금융팀장이 참석했다.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