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삼척항 등에 폭풍·해일 방지 수문 설치

22개 항만에 방재시설 설치…목포(베네치아형 수문)ㆍ삼척(수직 리프트) 등

지진ㆍ해일 피해 가능성이 높은 삼척항에 일본식 수직 리프트형 수문이 설치된다. 국토해양부는 25일 폭풍ㆍ해일 등으로 인한 침수 피해를 막기 위해 2030년까지 총 1조 1,880여억 원을 투입한다고 발표했다. ‘아라미르 프로젝트’로 이름 붙여진 이번 사업은 항만과 배후 도심권에 첨단 방재 시설을 설치하는 것으로 총 54개 항만과 배후도심권이 대상이다. 폭풍ㆍ지진ㆍ해일 피해가 클 것으로 예측되는 삼척항과 태풍의 길목에 위치해 피해가 자주 발생하는 목포 등 서ㆍ남해안 항만 22개가 이번에 방재시설이 필요한 지역으로 선정됐다. 이 중 만(灣) 안쪽에 항만과 배후 도심권이 위치한 목포항ㆍ삼척항ㆍ통영항ㆍ마산항에는 게이트형 방재시설이 건설된다. 목포항에는 평상시에는 수중에 눕혀있다 해일 등 위급한 상황에서 수상으로 부상하는 이탈리아 베네치아 방식의 플랩 게이트와 일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수직 리프트형 수문이 함께 설치되고, 삼척항에는 수직 리프트형 수문이 설치된다. 아울러 항만 구역이 협소해 방호벽 등 방재 시설물 설치가 어렵거나 주거 지역이 인접한 마산항ㆍ광양항ㆍ삼천포항 등에는 항만시설물의 지반고를 높여 물이 넘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방재언덕이 마련된다. 여기에 해일과 월파(越波)를 막기 위해 담 형식으로 차단벽을 쌓는 방호벽형 방재물도 일부 항만에 건설된다. 국토부는 또 앞으로 약 1조 3,000억원을 들여 노후 방파제를 보강하는 방안도 고려 중이라고 덧붙였다. ‘아라미르’는 순 우리말로 바다를 의미하는 ‘아라’와 용의 옛말인 ‘미르’의 합성어로 ‘바다의 수호신’을 뜻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한국해양연구원이 폭풍ㆍ지진ㆍ해일고ㆍ설계파고ㆍ해수면 상승 등 기후변화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자료를 토대로 수립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