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20兆 규모 KIF 조성 정책금융 기능 유지

■ "산업은행 5~6년에 걸쳐 민영화"

산업은행이 3단계 매각과정을 거쳐 민영화될 경우 현재 산업은행이 수행하고 있는 정책금융 기능은 어떻게 되는지에 기업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민영화 과정에서 정책기능이 아예 사라지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우려감도 있다. 인수위원회는 기업의 이 같은 우려를 불식시키려는 듯 산은 고유의 정책기능은 다른 형태로 유지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인수위는 먼저 대우증권을 산업은행 투자은행(IB) 기능에 귀속시켜 산업은행을 토종 IB로 키운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후 토종 IB인 ‘산은지주회사’의 IB 기능은 단계적으로 매각, 초기에 약 20조원의 자금을 확보해 코리아 인베스트 펀드(KIF)를 만들 예정이다. 새로 만들어지는 KIF가 산업은행의 정책금융 기능을 이어가도록 하겠다는 것. 다만 주된 정책금융 지원 대상은 중소기업에 집중될 전망이다. 또 자금지원 방식도 바뀐다. 인수위의 한 관계자는 “조성된 20조원 정도는 중소기업에 온렌딩(on-lendingㆍ전대) 방식으로 지원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온렌딩 방식은 그 동안 정부가 기술신용보증이나 신용보증기금을 등을 통해 직접 지원한 것과 달리 민간 투자은행과 함께 민간 자금과 정부 자금을 섞어 중기에 투자하는 방식이다. 온렌딩 방식 도입이유에 대해 “정부 자금이 100% 중소기업에 지원되면 정치적인 이유 때문에 필요할 때 회수하지 못한다”면서 “프라이머리 CBO 문제가 대표적인 부작용”이라고 설명했다. 프라이머리 CBO는 기업들이 자금조달을 위해 신규로 발행하는 신용등급 B~BBB 회사채를 증권사가 먼저 총액인수해 이를 유동화전문회사(SPC)에 매각하고 유동화전문회사가 이를 기초로 발행하는 채권담보부증권(CBO)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