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가계 금리 부담 커진다"

LG경제연구원은 12일 점차 시중 금리가 높아지면서 가계의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고소득층에 비해 중하위층이 금리 리스크에 취약한 만큼 소비 회복세 확산을 위해서는 통화당국이 정책 금리 인상에 더욱 신중해야한다고 조언했다. 연구원은 12일 '가계 금리 리스크 커지고 있다' 보고서에서 ▲시장금리 연동형대출 비중 확대 ▲가계의 실적배당형 투자 확대 ▲은행의 시장금리연계형 자금조달증가 등이 가계의 금리 리스크를 키우고 있다고 분석했다. 시장금리 연동형 대출이 증가함에 따라 금리 상승은 직접적으로 가계의 이자 부담으로 이어지고, 채권이나 주식형 펀드 등 실적배당형 금융상품에 대한 가계의 투자가 늘수록 금리 상승에 따른 수익률 하락의 위험이 커진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또 은행이 시장금리와 연계된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등을 통해 자금 조달을 늘릴수록, 금리 상승에 따른 조달비용 증가를 가계에 대한 대출금리인상에 반영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연구원은 덧붙였다. 연구원은 특히 소득 중하위계층은 순저축액이 적고 부채가 저축을 초과하는 경우가 많아 금리가 오르면 예금 금리 상승의 혜택을 기대하기보다 이자 부담 가중에따른 가계수지 악화를 우려해야한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작년 3.4분기 말 기준 소득계층별 가구의 저축과 부채를 추산한 결과,순저축(저축-부채)이 1천만원에도 미치지는 못하는 가구가 전체의 40%에 달했다고소개했다. 또 신용대출 및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상승 속도가 예.적금담보대출 금리에 비해빠를 뿐만 아니라 은행권이 경쟁적으로 고액예금 가입자에 우대금리를 적용하는 추세 역시 주택 이외 마땅한 담보가 없고 거액을 한꺼번에 예금하기 어려운 소득 중하위계층에 불리하다고 연구원은 지적했다. 조영무 선임연구원은 "작년 3.4분기 말 기준으로 596조원에 달하는 가계의 금융부채와 87% 수준인 변동금리부 대출 비중을 감안할 때, 시중금리가 1%포인트 상승하면 1년 동안 가계의 이자부담은 약 5조2천억원 늘어난다"며 "특히 소득 중하위 계층이 금리 인상에 취약하므로 정책금리 인상에 더욱 신중하고 시중금리 상승 속도 조절에 관심을 기울여야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