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비만퇴치’ 정부 팔 걷었다

이달말 대책위 구성<BR>패스트푸드 광고 제한·학교 음료자판기 규제등 검토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선진국형 질환인 ‘비만’ 퇴치를 위해 정부가 직접 팔을 걷고 나섰다. 정부는 비만 관리를 국가 보건정책의 주요 목표 중 하나로 추진하기로 하고 보건복지부, 문화관광부, 교육인적자원부, 노동부, 민간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가칭 ‘국가비만대책위원회’를 이달 말 구성, 운영하기로 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를 통해 정부는 국민들의 식생활 개선, 운동의 활성화, 비만치료 및 관리 등 의료서비스 제공 등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비만 관리대책을 수립,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 대책에 따르면 패스트푸드 등의 광고시간을 어린이 취침시간 이후로 제한하고 초ㆍ중ㆍ고교 내 음료수 자판기 설치를 규제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또 식품의 열량 및 지방 함유량에 대한 표시기준 강화, 지나친 설탕이나 지방 섭취에 대한 경고문구 표기 등도 함께 검토된다. 식생활 개선 유도뿐만 아니라 적극적인 비만예방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도 개발된다. 일상생활 속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운동과 신체활동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정, 일반에 배포되고 학교나 사업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체조, 스트레칭 운동 프로그램도 개발, 보급된다. 또 정부는 지자체ㆍ사업장 등이 공원ㆍ산책길ㆍ등산로 등을 적극 조성해 주민이나 직원들이 쉽게 운동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도록 유도하고 건강도시 지정도 추진할 방침이다. 비만에 대한 의료서비스도 확대된다. 정부는 전국 보건소, 주민건강증진센터를 통해 비만상담, 식이요법 및 운동요법, 약물처방 등을 실시하는 한편 특히 고도비만 환자들에 대해서는 비만치료제 사용시 건강보험을 적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최성락 복지부 보건정책팀장은 “현재 우리나라 비만 인구는 32.4%로 지난 10여년 동안 1.6배나 늘었다”며 “오는 12월 말께 관련 대책이 확정되면 비만관리가 국가 주요 보건정책으로 본격 추진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