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김영남 "우연한 사고로 입북" 납북 부인

"메구미는 94년 4월 병원서 자살"…日 생존설 부인<br>"통일부문 일해…장인은 평양시 인민위 부위원장"

제14차 남북이산가족 상봉행사에서 28년 만에 남측 어머니 최계월씨를 만난 북측 아들 김영남씨가 29일 금강산호텔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월북 경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28년 전 북한 공작원에 납북된 것으로 추정됐던 김영남(45)씨가 이를 전면 부인, 자신은 우연한 사고로 북측에 건너갔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일본인 전처 요코다 메구미의 사망 여부와 관련, “메구미는 지난 94년 4월13일 병원에서 자살했다”며 일본 정부가 제기한 생존설을 거듭 부인했다. 김씨는 제14차 이산가족상봉행사 둘째 날인 29일 오후 금강산호텔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나의 입북은 납치도 자진월북도 아닌 대결 시대 우연적으로 일어난 돌발적 입북”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고교 1학년에 재학 중이던 78년 8월5일 선유도 해수욕장에 놀러갔다가 일련의 해프닝 속에 잠시 몸을 피하기 위해 해수욕장 인근에 있던 나무쪽배를 탔다가 망망대해로 흘러간 뒤 북측 선박의 구조를 받아 북으로 가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북에 도착한) 당시 겁도 나고 걱정도 앞서 처음 며칠간 밥맛도 없었지만 점차 북측 사람들과 친해지면서 굳어진 마음도 풀어지고 북에 대한 인식도 바뀌었다”며 “특히 북에서는 무료로 공부할 수 있다고 해서 마음에 들었고 여기에서 공부하고 (고향에) 가면 되지 않겠나 생각했던 것이 계기가 돼 28년의 세월이 흘렀다”고 말했다. 그는 메구미의 사망 경위와 관련, “결혼 전부터 병적인 현상이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며 “(딸 은경을) 출산한 후 좀더 악화됐고 우울증에 정신이상 증세까지 나타나 할 수 있는 모든 치료를 다했지만 끝내 회복하지 못하고 숨졌다”고 주장했다. 김씨는 “메구미 문제는 이것이 전부인데 자꾸 일본 정부가 나의 말을 잘 믿지 않고 딴소리를 하면서 나를 괴롭히고 있다”고 말했다. 김씨는 북한에서의 생활에 대해 “저에 대해 이런저런 말들이 많은데 금성정치대학을 졸업했고 통일부분 관련 사업을 하고 있다”면서 “제 집사람은 당학교에서 공부하고 있고 장인은 평양시 인민위 부위원장(서울시 부시장에 해당)으로 사업하고 계신다”고 설명했다. 한편 김씨는 은경양에 대한 메구미 부모들의 송환 요구에 대해 “그 요구 자체가 나로서는 납득이 잘되지 않는다”며 “현재 조건에서 일본 당국이 취하는 사태를 볼 때 보내고 싶은 생각도 없고 스스로 가지 않겠다고 말하고 있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