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수면장애 환자 4년새 2배로

여성이 남성의 1.5배

불면증 등 수면장애로 진료를 받은 사람이 4년만에 2.2배 늘어났다. 특히 여성이 남성에 비해 수면장애를 더 많이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05∼2009년 수면장애에 대한 심사결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9년 수면장애로 병ㆍ의원에서 진료를 받은 인원은 26만2,005명으로 지난 2005년 11만9,865명을 시작으로 연평균 21.6% 늘어났다고 26일 밝혔다.

수면장애로 인한 진료비도 2005년 51억원에서 2009년 120억원으로 4년만에 2배 이상 증가했다.


성별로 보면 지난해 여성 수면장애 환자는 15만8,759명으로 남성 10만3,246명보다 1.5배 많았다. 연평균 증가율도 남성이 20.8%, 여성이 22.2%로 수면장애는 여성에게 더 많이 나타났다.

관련기사



작년을 기준으로 연령별로는 70대 이상이 6만3,298명(23.5%), 50∼59세가 5만350명(18.7%), 60∼69세가 4만7,605명(17.7%), 40∼49세가 4만7,095명(17.5%)으로 40대 이상의 환자가 전체 진료인원의 77.4%를 차지했다.

여성 환자의 비율은 20세 미만에선 남성에 비해 21% 적었으나 20세 이후에는 여성이 남성보다 1.4~2배가량 많았다. 특히 20~29세 여성 환자가 남성에 비해 2배로 가장 큰 격차를 보였다.

한창환 강동성심병원 정신과 과장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우울증 환자가 많고 신체적, 정신적인 변화에 민감한 것이 다소 영향을 미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불면증, 수면무호흡증, 기면증 등의 형태로 나타나는 수면장애는 학습장애, 능률저하, 교통사고, 안전사고, 정서장애, 사회 적응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이미 앓고 있는 내과나 신경과, 정신과 질환이 악화되거나 회복이 지연될 수 있다.

한 과장은 "수면을 방해하는 담배, 커피, 콜라, 술 등을 피하고 따뜻한 우유를 밤에 마시면 편안한 수면에 도움이 된다"며 “낮잠을 피하고 주말이나 휴일에도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야 숙면을 취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