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회계법인도 저축銀 사태 책임있다

부실 저축銀에 적정의견<br>회계감사 책임론 불거져


'회계법인은 부실 저축은행 사태의 또 다른 종범.' 금융시장의 신용과 신뢰를 밑바닥부터 뒤집어놓은 부실 저축은행들의 회계장부 조작이 금융감독원의 감독능력을 불신하게 만든 데 이어 이번에는 회계법인들의 '장님 코끼리 더듬기'식 회계감사에 대한 책임론으로 번지고 있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8개 부실 저축은행들의 최근 2년간 결산보고서에서 회계법인들이 경고등을 켠 것은 지난 2009 회계연도 대전저축은행에 대해 '의견거절'을 표명한 삼일회계법인뿐으로 이를 제외하면 한결같이 '적정'의견이었다. 그나마 삼일도 2008 회계연도에는 대전저축은행에 대해 '적정' 의견을 내놓았던 것으로 드러나 국내 회계법인들의 회계감사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높아지고 있다. 2008 회계연도부터 2009 회계연도까지 부산저축은행의 감사를 맡은 다인회계법인은 두 해 모두 적정의견을 냈다. 부산은 '비리 백화점'이라는 말이 나오고 있지만 이에 대한 낌새조차 채지 못했다. 2008ㆍ2009년 회계연도에 부산2저축은행에 대한 감사보고서를 낸 성도회계법인도 의견은 모두 적정이었다. 전주저축은행도 삼일과 다인 측으로부터 같은 결과를 받았다. 중앙부산저축은행도 2008 회계연도에는 삼일이, 2009 회계연도에는 다인 측이 감사했지만 결과는 '적정'이었다. 다만 대전저축은행은 2009 회계연도 감사를 담당한 삼일 측이 '의견거절'을 표명했다. 그러나 삼일은 2008 회계연도에 대전에 대해 '적정의견'을 냈다. 금융감독원의 세부실사 결과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1.09%에서 -91.35%로 떨어진 보해저축은행도 최근 3년간 안진회계법인으로부터 '적정의견'을 받았다. 이에 대해 회계법인들은 "금융감독 당국조차 몰랐는데…"라며 부실 저축은행들의 회계장부 조작에 대한 회계감사의 한계를 토로했다. 하지만 시장 관계자들은 "회계장부 조작사고가 터질 때마다 회계법인들은 '감사 대상 회사가 작심하고 조직적으로 조작한다면 이를 밝혀내는 것은 역부족'이라는 변명으로 일관한다"며 "회계검사 능력이 정상적인 회사에만 작동한다면 회계법인의 존재이유나 가치가 무엇인지 아리송하다"고 비난한다. 금융감독 당국의 한 고위관계자는 "부실 저축은행의 회계를 담당한 회계법인의 책임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며 "검찰조사가 끝나는 대로 해당 회계법인 처리 문제를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