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MK 소환에서 영장 결심까지 '긴장의 이틀'

정몽구 현대차그룹 회장이 검찰 조사를 받고 돌아간 25일 새벽 1시부터 정 회장의 사전구속영장 청구 결심까지 대검 수사팀과 검찰수뇌부는 긴장된 이틀을 보냈다. 약 1천100억원대의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를 받고 있는 정 회장을 법대로 구속수사해야 한다는 의견과 현대차 그룹 사업 악화로 경제에 심각한 악영향이 초래될 수있다는 우려를 놓고 심각한 고민을 했기 때문이다. 정 총장은 법논리에 무게를 둔 수사팀의 의견을 수시로 보고받으면서도 복심은좀처럼 드러내지 않은 채 `정공법'이 초래할 부작용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각계 각층의 목소리에 귀를 쫑긋 세웠다. 정 총장과 임승관 대검 차장은 전직 및 현직 검찰 간부 쪽으로 역할을 나눠 정회장 신병처리 방향을 어떻게 결정하는 게 맞는지를 물었고 언론계나 재계의 여론도수렴하는 등 장고를 거듭했다는 후문이 있다. 정 총장은 검찰 외부의 의견을 듣는 과정에서 정 회장이 구속되면 현대차 해외판매망 붕괴, 수출 차질, 해외공장 건설을 비롯한 중장기 사업 공백의 장기화 등 경제적 파장이 예상보다 훨씬 심각하다는 우려를 듣고 고민을 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검찰 내부에서 대세를 이룬 경제정의론 대신에 경제위기론을 수용해 정 회장을 불구속하는 대신 경영권 편법승계의 최대 수혜자인 정 사장의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했다. 정 회장의 구속 수사가 `검찰이 재벌 앞에만 서면 약해진다'는 세간의 따가운시선을 피하고 재벌 범죄를 엄단하라는 국민 여론에도 부합하지만 자칫 국민 경제에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를 감안했기 때문이다. 수사팀도 겉으로는 "정 회장의 혐의 시인 여부는 구속ㆍ불구속 결정과 무관하다"고 밝히는 등 정 회장 구속에 강한 의지를 보이면서도 속으로는 경제위기론에 적지않은 부담을 가졌던 것으로 알려졌다. 정 회장 부자의 사법처리 방침을 결정하던 26일에도 현대차 근로자와 퇴직 임직원 등 국내외 각계 인사들로부터 정 회장의 선처를 바라는 탄원서가 줄을 이으면서검찰을 압박했다. 이 때문에 수사팀은 26일 오후 5시 정 총장에게 수사결과보고서를 제출하며 `정회장 구속, 정 사장 불구속' 의견 뿐만 아니라 `정 회장 불구속, 정 사장 구속' 등여러 시나리오를 장단점을 분석해 증거 자료와 함께 보고했다. 그러나 수사팀은 `법과 원칙'을 앞세우며 정 회장 구속이 단기적으로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는 있지만 장기적으로 기업 투명성이 제고된다는 점을 강조하며 정회장이 법적 책임을 져야 한다는 의견을 강하게 밀어붙였다. 정 총장은 이날 오후 5시 박영수 중수부장의 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수사팀 분위기와 의견을 듣고 더 이상의 좌고우면은 의미가 없다고 판단, 오후 6시 30분께 최종결심을 했다. 정 총장은 27일 오전 출근길에 정 회장 사법처리 수위 결정에 가장 영향을 미친것이 무엇인지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법과 원칙이다"며 이틀간 계속된 장고 끝에 결국 `우회돌파' 대신에 `정공법'을 선택했음을 내비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