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총체적 점검 시급한 방사성 안전대책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따른 방사성 물질 유출이 국제적 관심사가 되고 있는 가운데 강원도 지역에서 극미량이기는 하지만 방사성 물질인 크세논이 검출돼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이 지난 23일 처음 제논(Xenonㆍ크세논) 검출사실을 확인하고도 나흘 뒤인 27일에야 이를 공개함으로써 은폐 논란까지 불거지고 있다. 비록 인체에 해가 없을 정도의 적은 양이기는 하지만 우리나라도 방사선 위험의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이 확인됐으므로 이동경로 등을 정확하게 파악해 대응에 차질이 없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관련 정보를 정확하게 공개함으로써 불필요한 오해나 불안감을 증폭시키지 않도록 해야 한다. KINS에 따르면 23일 강원도 방사능측정소에서 제논133이 0.001베크렐(Bq) 검출된 후 25일부터 양이 증가해 최대 0.878Bq까지 늘어났다. 이를 방사선량으로 환산하면 0.0065나노시버트(nSv)로 우리나라 자연 방사선 수준인 시간당 평균 150nSv의 약 2만3,000분의1수준으로 인체와 환경에는 전혀 영향이 없다는 설명이다. KINS의 설명대로 이는 극히 적은 양으로 걱정할 정도는 아니다. 특히 제논은 반감기가 5.27일로 짧고 가벼운 기체여서 지상에 있는 사람이 마실 확률은 희박하다. 문제는 일본 원전사고에 따른 국내 영향이 거의 없다고 강조해온 정부의 설명과 달리 극미량이나마 방사성 물질이 건너왔다는 점이다. 기상청은 한반도 주변 기류의 특성을 들어 일본의 방사성 물질이 우리나라까지 날아올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번에 방사성 물질이 검출됨으로써 이 같은 예측이 빗나갔음이 확인됐다. 강원도에서 검출된 제논이 어떤 경로를 통해 우리나라에 들어왔는지는 아직 명확하지는 않다. 요오드나 세슘 같은 방사성 물질이 추가로 검출될 수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는 일본 원전사태가 악화될 경우 우리나라도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번 제논 검출을 계기로 일본 방사성 물질의 피해 가능성을 다시 한번 점검하고 안전대책을 강화해야 한다. 대기는 물론 해류에 의한 방사성 물질의 확산 가능성에 대비하는 한편 공항과 항만의 입국검사를 비롯해 일본에서 수입되는 식품 등의 검역을 크게 강화할 필요가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