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11월 27일] 전통시장은 어머니의 품

제법 겨울의 한복판에 들어온 느낌이다. 실물경제의 급랭으로 서민들이 느끼는 체감온도는 그 이하다. 실물경제의 민감도가 가장 높은 곳은 아마도 동네 전통시장일 것이다. 마침 전국상인연합회 초청으로 ‘전통시장을 어떻게 살릴 것인가’에 대한 강연이 있어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청취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강연 후 가진 토론시간에 불만과 체념이 섞인 목소리들이 봇물 터지듯 쏟아졌다. “시장에 손님의 발길이 끊어졌다.” “주부들이 지갑을 열지 않는다.” “대형마트의 세일 공세에 버틸 여력이 없다”는 호소였다. 대형마트에 대항해 낡은 시설을 보수하고 각종 이벤트로 고객을 유치해 이젠 좀 괜찮을까 했는데 경제위기의 한파를 맞아버린 것이다. 그동안 정부는 재래시장특별법 제정을 통해 지난 2002년~2007년까지 7,388억원을 투입해 노후시설을 개량하고 경영혁신을 지원했다. 상인들 스스로도 상인연합회를 중심으로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해 피땀을 쏟았다. 그러나 동네 구석구석까지 들어오는 대형마트로 지속적인 매출감소 경향을 반전시키지는 못하고 있다. 그래서 이번에 몇몇 뜻 있는 의원들과 함께 ‘재래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개정안을 발의했다. 정부의 지원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 상권활성화구역을 지정하고 상권관리기구를 별도로 설립 운영하도록 하는 내용이다. 지역상권이라는 포괄적인 접근방법을 통해 상업지역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다. 재래시장이라는 낡은 이미지의 명칭도 전통시장으로 통일하기로 했다. 명칭변경만으로 전통시장이 살아나는 것은 아니겠지만 어떻게든 전통시장을 살려보려는 상인들의 열망이 응축된 것이기도 하다. 전통시장을 살리기 위해서는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대형마트와 경쟁해서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차별화가 필수적이다. 주먹구구식 영업방식을 탈피하고 고객에게 다가서는 전통시장을 만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정부의 경영개선 지원프로그램인 상인대학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이다. 전통시장은 어머니의 품이다. 그곳에서는 어머니의 손맛을 느낄 수 있다. 어머니의 거친 손을 만지며 우리는 가슴 뭉클한 사랑을 발견한다. 추억을 상품화하고 인심을 팔아야 한다. 전통시장은 감성마케팅에 적합한 소재를 많이 가지고 있다. 또한 경제위기로 대량구매 패턴이 소량구매 패턴으로 바뀌고 있는 소비패턴의 변화도 잘 활용해야 한다. 35만명의 전통시장 상인과 정부가 혼연일체돼 지금의 경제위기를 잘 돌파하고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성공의 후일담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 과정에 아낌없는 협력을 다짐해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