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포럼] 막연한 전자파 불안


우리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전기에너지는 일상에서 꼭 필요한 것이 됐으며 전기가 없는 생활은 정보화 사회에서 상상할 수도 없다. 이를 위해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소비지로 운송하는 전력망은 필수 기간시설물이다. 그런데 요즘 전력사업 및 전력망과 관련된 전자파 이슈가 크게 부각되고 있다. 전기를 사용하기만 하면 원하든 원하지 않든 전자파는 발생한다. 이 가운데 본래의 목적과 관계없이 발생되는 전자파는 강력하게 규제ㆍ관리되고 있다.

그러나 송전선에서 발생하는 전자파가 생체 조직에 영향을 줘 건강을 위협한다는 의견과 명확하게 유해하다는 과학적인 증거가 없어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의견이 서로 대립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전자파에 대한 불안과 사회적 갈등이 증폭되고 있어 전자파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전달과 이해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외 실험 인체유해 입증 못해


송전선의 전자파가 인체에 영향이 있다는 논쟁의 시작은 1970년대 말로 거슬러 올라간다. 송전선 인근에 거주하는 어린이들의 백혈병 발병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다는 것을 미국 워싸이머의 발표 이후에 스웨덴의 카롤린스카연구소 등에서 전력설비 전자파가 유해하다는 역학연구 결과들이 나왔다.

관련기사



이러한 유무해 논쟁을 해결하고자 미국에서는 1994년 정부차원의 연구(EMF RAPID 프로그램)를 시행했으며 전자파 노출이 실제로 건강에 해를 끼칠 개연성은 작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또한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1996년부터 10년간에 걸쳐 국제 EMF 프로젝트를 시행했다. 여기에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54개국, 8개 국제기구 및 9개 국제협력연구기관이 참여한 바 있다.

연구결과는 낮은 수준의 자계노출에 의해 암이 진전된다는 생체물리학적 작용은 밝혀진 바 없으며 소아백혈병 간 연관성이 있다는 증거가 미약하다고 2007년 발표됐다. 국내에서도 정부차원에서 전자계 건강영향에 대한 역학연구ㆍ세포실험ㆍ동물연구 등을 수행했으며 그 결과 2009년 건강에 영향이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설비주변 주민과 소통 확대 필요

국내외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전력설비에서 발생하는 낮은 수준의 전자파가 인체에 별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WHO는 장기노출에 전자파가 무해하다는 과학적인 증거가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전주의원칙에 따라 가능하면 각국 정부가 전자파 노출을 저감하는 정책과 가이드라인을 권고하고 있다. 인체영향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전력산업체는 지속적으로 관련 연구를 수행해야 하며 전력설비에 가까이 거주하는 주민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현장의 목소리를 경청하고 소통을 위한 보다 체계적인 대응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