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8월 25일] '경제발전의 맏형은 건설' 자부심 되찾자

건설산업은 해방과 전쟁 이후 국토를 재건하고 도로ㆍ공항ㆍ항만 등 기반시설과 주택 건설을 통해 산업화의 기반을 마련했다. 지난 2006년 현재 국내총생산(GDP)의 15.4%, 고용의 7.9%를 차지하는 등 명실상부한 국가기간 산업이다. 해외건설은 지난해 수주금액이 사상 최대인 398억달러를 돌파한 데 이어 올해에는 목표치 450억달러 초과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외형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건설산업 전반의 현실은 결코 낙관적이지만은 않다. 기술 수준과 생산성이 선진국에 비해 뒤떨어지고 플랜트를 제외한 설계ㆍ시공 부문의 해외시장 점유율은 해마다 줄고 있다. 수주산업이라는 점에서 유사한 조선업이 조기에 글로벌 스탠더드에 적응해 세계 최고 경쟁력을 확보한 것과 대조적이다. 게다가 부패와 부실, 불공정 등 부정적 이미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최근에는 고유가 등에 따른 국내 경기 침체로 수주물량과 건설 근로자의 일감이 줄어들어 가뜩이나 어려운 중소건설업체는 더욱 힘들어지고 있다. 이처럼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정부와 건설인이 심기일전하면 건설산업은 얼마든지 위기를 극복하고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미국과 영국 등 선진국이 90년대 중반부터 건설산업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국가적 차원의 건설산업 혁신운동(미국 National Construction Goal, 영국 Rethinking Construction)을 추진해 산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경제성장에 기여해온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건설산업이 고부가가치 미래 성장산업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올해 안에 선진화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 5월부터 민간 중심으로 건설산업선진화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제도 전반의 글로벌 스탠더드화, 설계ㆍ엔지니어링 등 소프트 부문 경쟁력 강화, 공공건설사업 효율화 등에 중점을 두려고 한다. 위기를 극복하고 진정한 재도약을 이루려면 정부 정책만으로 한계가 있다. 정책 제안과 관련 대책의 조기 정착 노력 등 대승적인 역할을 업계에 당부한다. 지난 60여년간의 도전과 성취의 역사를 밑거름 삼아 함께 노력해준다면 올해가 건설산업 선진화 및 글로벌화의 원년이 될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