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차업계 「함께살기 노력」헛바퀴/현대­대우 정상다툼에 타사 불안감

◎무이자 할판 등 경쟁금지 약속 파기/“공조위한 경영진 결단 절실” 목소리 극심한 불황속에서 어렵게 형성된 자동차업계의 「함께살기 노력」이 「4월대란」으로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현대­대우자동차가 4월 승용차시장에서 치열한 선두다툼을 벌이면서 빚어진 갈등과 제살깎아먹기 경쟁이라며 실시하지 않기로 최고경영진간에 맺은 무이자할부중단 약속의 파기 등 출혈과당경쟁이 다시 심화되고 있다. 여기에 기아·쌍용 등 다른 업체들의 반발까지 뒤엉켜 자동차 시장이 다시 혼탁해지고 있다.  이번 사태는 「만년 3위」인 대우가 『4월에는 승용차 내수시장에서 정상을 차지하겠다』는 「4월의 야망」에 현대가 강력한 견제를 하면서 시작됐다. 정상탈환과 고수에 대한 양측의 공방전은 과당경쟁으로 이어졌고, 자동차시장은 「대란」속으로 빠져들었다. 4월 승용차 내수실적은 현대 4만7천87대, 대우 4만5백21대, 기아 2만2백26대. 3월까지 전년대비 20% 이상의 극심한 감소에서 4월들어 10만7천8백34대로 5천여대나마 증가세로 반전됐다.  현대는 정상을 고수했고, 업체별 점유율에서는 현대가 지난해 4월 48.4%에서 올해는 43.7%, 기아는 26.3%에서 18.8%로 감소한 반면 대우는 25.3%에서 37.6%로 높아졌다.  문제는 이같은 실적에 대해 3사사가 서로 상대업체에 대해 『부풀리기를 했다』며 『시장질서를 흐리고 있다』고 비난하면서 갈등이 빚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4월의 실적에 대한 각 업체의 주장을 들어보자.  ▲현대자동차=4월실적은 제품자체의 경쟁력이 제대로 평가됐고, 임직원과 가족들을 대상으로한 무이자할부판매도 크게 작용한 결과다. 다른업체에서 밀어내기(선출하)를 했다고 주장하는데 증거가 있는가. 판매실적이 뻥튀기했는지 아닌지는 이달 중순께 건설교통부의 등록대수를 보면 될 것이다.   ▲대우자동차=우리가 파악한 정보로는 현대가 4월30일 하루에 1만대 이상을 선출하, 실적을 뻥튀기 했다. 현대의 밀어내기에 대한 증거를 확보하고 있다. 우리실적은 3월실적(2만7천5백대)에 4월부터 판매한 레간자 실적(1만4천1백51대)를 합치면 정상적인 판매다.  ▲기아자동차=두 업체 모두 부풀리기를 했다. 우리는 4월29일까지 현대가 3만5천여대, 대우는 3만여대 였다는 것을 여러경로로 확인했다. 그런데 5월2일 발표된 것은 이보다 1만대 이상이 많았다. 하루에 어떻게 1만대 이상을 판매할 수 있는가. 과당경쟁을 자제하고 이성을 되찾아야 한다.  이같은 경쟁과 갈등으로 자동차시장은 혼란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우선 지난 3월 정세영 현대자동차명예회장, 김우중 대우그룹회장, 김선홍 기아그룹회장 등 승용3사의 최고경영자들이 회동, 약속했던 「무이자할부중단」이 깨진 것은 업계가 가장 우려하는 사안. 한 관계자는 『3사 회장단은 무이자판매 중단의 결연한 의지를 확인하기 위해 약속파기 때 상당액의 벌과금부과도 협의한 것으로 안다』고 밝히고 특히 『회장들의 합의가 깨지는 상황에서 앞으로 무엇을 논의하고, 대응할 지 캄캄하다』고 말했다.  업계는 이에따라 정몽규 회장의 제안으로 최고경영진의 상호 공장방문 등 올들어 전에없던 공조분위기가 지속되기 어려울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업계는 지난 3월 경영진 공장방문을 성사시키면서 이를 자동차산업에 대한 규제완화에 대한 공동 건의문으로 연결시키는 등 모처럼 화합분위기를 만들어 냈다.  현재로선 각사가 얼마나 실적을 뻥튀기 했는지를 알기는 어렵다. 예년에 해오던 열흘단위의 실적공개를 하지 않았고, 매달 중순께 건교부 등록이 지표가 될 수는 있으나 이것도 판매와 등록간의 시차로 정확하지 않다. 결국 문제의 해결은 업체간 과당경쟁의 자제밖에는 없다는게 지적이다.  4월경쟁에서 중간입장인 기아의 한 관계자는 『정상을 지키겠다는 현대나 빼앗겠다는 대우나 목표의 달성여부에 따라 사내외 이미지, 판매 등에서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사실이다』면서도 『그렇다고 밀어내기식이나 무이자할부 판매등 출혈경쟁은 자동차산업을 위해 당장 중지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쌍용·현대정공·아시아등 다른 업체에서는 ▲부풀리기는 겉으로 보면 판매가 잘 되는 상태에서 자동차에 대한 불황타개책을 요구하는 꼴이되고 ▲선출하에 따라 이자, 주차비 등 유지비용부담 ▲오래된 차를 받아야 하는 소비자 등 모두 피해를 보며, 산업정책에 대한 왜곡현상을 초래할 수도 있다며 이의 중단을 위한 최고경영진들의 결단을 촉구하고 있다.<박원배>

관련기사



박원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