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현대차, 인도 車시장 커져 수혜 기대

KB證 "韓·印 CEPA 발효도 점유율 확대에 유리"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인도 자동차 시장에서 점유율 2위인 현대자동차가 수혜를 얻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KB투자증권은 11일 보고서를 통해 "파이낸셜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인도자동차협회 회장은 현재 340억달러 규모인 인도 자동차 및 관련 사업 규모가 오는 2016까지 1,450억달러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며 "인도 시장에서 21%의 점유율로 2위의 사업자인 현대차는 이러한 전망이 현실화할 경우 수혜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지난 1999년 인도 자동차 산업에 대한 외국자본 투자가 100% 개방된 후 최초로 설립한 첸나이 현지법인에서 연간 60만대를 생산하고 있으며 i10ㆍi20ㆍ베르나ㆍ상트로 등 소형차종이 주력 기종이다. 이 증권사의 신정관 연구원은 "인도 시장에서 현대차의 위상은 확고한 상황으로 최근에는 인도 제3공장 추진 가능성까지 제기됐다"며 "인도공장은 인도 시장에만 집중해 증가하는 인도 시장의 현대차 수요에 맞추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신 연구원은 이어 "한국과 인도 간 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CEPA) 발효로 현대차가 부품 수급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게 된 점을 고려하면 지난 10년간 두 개의 공장을 가동하며 기반을 닦은 현대차의 인도 시장 지위가 한층 확고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