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與 정계개편싸고 '백가쟁명'

친노·중도계열 "先당분위기 쇄신" 주장<br>국민연대 "조기전대 반대…새판 모색해야"<br>탈계파 초선 "헤쳐모여식 신당짜야" 목청

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장이 여당의 10·25 재보궐선거 참패 직후인 26일 오전 국회 비상대책회의에서 선거로 나타난 민심에 승복한다며 국민들에게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신상순기자

與 정계개편싸고 '백가쟁명' 김근태·정동영·중도파등 '통합신당론' 찬성신당창당 시기놓곤 계파별 미묘한 입장차신기남등 친노직계는 '재창당론'에 무게 민병권 기자 newsroom@sed.co.kr 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장이 여당의 10·25 재보궐선거 참패 직후인 26일 오전 국회 비상대책회의에서 선거로 나타난 민심에 승복한다며 국민들에게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신상순기자 열린우리당의 10ㆍ25 재보선 참패를 기점으로 여당발 정계개편 시나리오가 쏟아지고 있다. 여당 내에서는 현 체제로는 재집권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헤쳐모여식 통합신당론을 중심으로 계파별 논란이 급물살을 타게 됐다. 이에 대해 야권에서는 민주당이 통합신당론에 더욱 불을 지피는가 하면 한나라당은 정치공세에 나서고 있어 당분간 혼돈이 지속될 전망이다. ◇통합신당론, '선통합이냐 후통합이냐' 입장차=정치권 빅뱅의 뇌관을 때리고 있는 여당의 통합신당론이 가장 유력한 정계개편 시나리오로 부상하고 있다. 통합신당론은 열린우리당을 해체하고 범정치권의 민주세력이 연대해 신당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 이는 정대철 열린우리당 상임고문이 '중도통합 신당론'을 제기하면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통합신당론에 대해서는 열린우리당의 김근태 의장과 정동영 전 의장 계열의 의원들이 찬성의 목소리를 내고 있으며 당내 중도보수 및 탈계파의 일부 의원들도 조심스레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다만 문제는 통합의 시기다. 전당대회를 조기에 실시해 신당창당 시기를 앞당기자는 '선통합론'과 일단 당내 분위기를 쇄신한 후 시간 여유를 갖고 신당을 만들자는 '후통합론' 사이에서 미묘한 줄다리기가 이뤄지고 있다. 열린우리당의 이번 재보선 패배 이후 선통합론의 포문을 연 것은 친노무현 대통령 계열(친노계열)의 초선의원 모임인 '처음처럼'이다. 처음처럼 소속 의원 23명은 26일 공동성명을 통해 전당대회를 당초 계획(내년 2월 예정)보다 앞당겨 늦어도 1월까지는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중도보수 및 재야파, 탈계파 의원 중 상당수는 후통합에 무게를 싣는 분위기다. 조기전당 대회 개최는 여당이 기득권을 버리고 범정치권과 손을 잡는다는 통합신당론의 취지와 다르다는 판단에서다. 중도노선인 '안정적 개혁을 위한 의원모임'의 회장 유재건 의원은 "조기 전당대회 개최론은 열린우리당이 선거 패배 때마다 지도부를 교체했던 악순환을 끊자는 차원인 것 같다"며 "하지만 1월 개최는 시간적 여유가 너무 촉박하다"고 지적했다. 또 김근태 의장 계열의 재야파 모임인 '경제민주화와 평화통일을 위한 국민연대'의 사무총장 문학진 의원도 "조기 전당대회에는 반대한다"고 못박았다. 이와 더불어 탈계파 성격의 초선의원 모임인 '국민의 길'도 조기 전당대회 개최론을 비판하고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재창당론=여당 일각에서는 열린우리당의 기존 틀은 유지하면서 새롭게 환골탈태하자는 '재창당론'도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주로 친노직계를 중심으로 공론화된 재창당론은 헤쳐모여식 신당 창당론과는 정면 대치하고 있다. 열린우리당 창당의 주역인 신기남 전 의장은 "우선 우리당을 똑바로 세우고 우리당이 주체가 돼서 민주개혁세력의 연대를 이뤄나가야 한다"고 주장했고 친노직계인 백원우 의원도 "지금 당장 민주당과 통합하자고 해봐야 가능하지 않고, 명분도 없다"고 밝혀 재창당론에 힘을 실어줬다. 그러나 통합신당론이든 재창당론이든 여당의 새 틀 짜기가 성공하려면 정책실패의 원인과 민심 이반에 대한 원인을 숙고해 반성하고, 원칙 있는 당의 노선을 세우는 게 우선이라는 게 정치권의 평가다. 입력시간 : 2006/10/26 18:16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