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상반기 실질 무역손실 '눈덩이'

국제원자재값 급등 따른 교역조건 악화로 54兆<br>GDP대비 13.7% 달해…작년보다 3.9%P 상승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교역조건 악화로 올 상반기 실질 무역손실이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2000년을 기준으로 한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 무역손실액’은 상반기 54조9,271억원에 달했다. 상반기에 2000년의 교역조건이 유지됐다면 54조9,000억원을 더 벌어들일 수 있었다는 뜻이다. 실질 무역손실은 상반기 기준으로 2004년 12조634억원, 2005년 20조847억원, 2006년 34조4,381억원, 2007년 37조1,183억원에 이어 올해는 50조원을 돌파했다. 특히 올 상반기의 전년동기 대비 손실규모 증가액은 17조8,08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증가폭인 2조6,802억원의 6.6배나 됐다. 또 상반기의 실질 무역손실 규모는 실질 국내총생산(GDP) 대비 13.7%로 2007년의 9.8%에 비해 3.9%포인트 상승했다. 연도별 비율은 2003년 2.9%, 2004년 3.6%, 2005년 5.8%, 2006년 9.5% 등이었다. 실질 무역손실이 급증한 것은 교역조건이 악화됐기 때문이다. 즉 원유ㆍ원자재 가격이 크게 올라 원가부담이 커진 반면 ITㆍ반도체 등 국내 주력 수출품 단가는 경쟁심화로 낮아져 실질적 소득효과가 줄어든 것이다. 실제로 순상품교역조건지수(2005년=100)는 올 들어 5월까지 평균 81.9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95.0에 비해 13.8%나 떨어졌다.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한 단위 수출대금으로 수입할 수 있는 물량으로 지난해는 동일한 물량을 수출해 95개를 수입할 수 있었으나 올해는 81.9개로 줄어들었다는 얘기다. 이는 1998년의 14.2% 이후 가장 낮다. 또 올 들어 5월까지의 평균 지수는 1998년 같은 기간의 147.6과 비교하면 55%에 불과하다. 한은의 한 관계자는 “상반기에는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 등으로 무역손실이 컸다”면서 “그러나 무역손실은 교역조건뿐 아니라 교역규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만큼 무역손실이 늘었다고 해서 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