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새 5,000원권 도안 뒷면에 신사임당 그림 들어간다



내년 상반기 중 발행 예정인 새 5,000원권의 도안 뒷면이 현재의 오죽헌 전경에서 신사임당의 초충도(草蟲圖) 가운데 수박과 맨드라미 그림으로 바뀐다. 앞면의 율곡 이이 초상은 그대로 유지하되 앞면 부제가 오죽헌 몽룡실과 검은 대나무 그림으로 변경된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9일 이 같은 내용의 새로운 도안 소재를 채택하고 내년 상반기 중 5,000원권을 발행하기로 의결했다. 뒷면 주제인 초충도는 율곡의 어머니인 신사임당이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8폭 그림으로 신사임당의 직계후손이 계속 보존해오다 오죽헌 시립박물관에 기증한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1호다. 새 5,000원권에는 8폭 초충도 가운데 수박과 맨드라미 그림이 이용된다. 새 5천원권의 앞면 도안에 들어가는 오죽헌 몽룡실은 율곡 이이가 태어난 곳이다. 김두경 한은 발권국장은 “현행 5,000원권의 디자인은 율곡 이이의 초상 빼고는 모두 바뀌게 된다”며 “기존 은행권의 뒷면 소재로 활용돼온 건축물이나 자연지형물 대신 전통 예술작품이 적용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실제 도안그림은 발행 초기의 위폐 유통 방지를 위해 시제품이 완성된 시점에 공개될 예정이다. 새 5,000원권의 규격은 가로 142㎜, 세로 68㎜로 현재의 5,000원권보다 가로 14㎜, 세로 8㎜가 축소된다. 색상은 적황색 계열을 기조색으로 밝고 화려해지며 용지의 품질도 대폭 개선된다. 또 직인의 형태도 원형에서 정사각형으로 바뀐다. 위ㆍ변조 방지를 위해 보는 각도에 따라 대한민국 지도와 액면숫자ㆍ태극문양 및 4괘 등이 번갈아 나타나는 원형의 홀로그램이 부착된다. 용지 자체도 액면숫자인 ‘5000’을 돌출은화로 추가하고 ‘부분노출 은선’을 ‘숨은 은선’으로 변경했다. 이밖에 앞판과 뒷판이 합쳐져 태극모양이 완성되는 앞뒷판 맞춤 장치와 보는 각도에 따라 황금색에서 녹색으로 변하는 광가변 잉크, 요판잠상, 미세문자 등이 적용된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는 현재보다 크기가 축소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