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4대 금융지주회사 부실 저축銀 인수때 공자금 투입 추진

김석동 금융위장 시사

국민ㆍ우리ㆍ신한ㆍ하나 등 4대 금융지주회사들이 부실 저축은행을 인수할 때 공적자금을 투입해 부실채권을 사들이는 방안이 추진된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6일 서민금융지원현장 점검차 서울 금천구 현대시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은행의 저축은행 인수가 은행 주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지 않느냐"라는 질문에 "금융지주 주가에 호재가 될 수 있다"고 답했다. 이어 김위원장은 "저축은행을 인수하면 금융지주사의 사업이 다각화되고 저축은행들의 수익구조도 혁신적으로 바뀔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금융권에서는 대형 부실저축은행을 인수시 정부가 공적자금을 통해 인수부담을 덜어주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정부는 올해 PF 부실 채권 매입 등을 위한 금융구조조정기금으로 4조5,000억원을 이미 확보해 둔 상태이며 예금보험기금을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금융당국의 한 관계자도 "정부가 공적자금을 투입해 부실채권 일부를 매입할 경우 인수과정에서의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저축은행의 부실을 은행에 떠넘긴다는 비판을 피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김 위원장 현장 방문에 동행한 김승유 하나금융지주 회장도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로 인한 금융시장의 부실을 막아 금융시장을 안정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며 "저축은행 인수 과정에 정부 지원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들의 12월 결산자료가 나오는 대로 문제의 저축은행들을 대상으로 실사를 거쳐 다음달 안에 M&A 대상 은행과 공적자금 투입규모를 결정할 방침이다. 김 위원장은 "저축은행들이 서민금융이라는 본연의 업무를 등한시하고 PF 대출에만 열을 올렸다"는 지적에 대해 "금융지주회사가 저축은행을 인수하는 경우에도 중점 기능은 서민금융이 될 것이고 이를 위해 필요하면 제도 보완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금융지주사들의 인수대상이 아닌 중소형 저축은행에 대한 구조조정을 위해 예금보험기금 공동계정 설치를 위한 예보법 개정안을 다음달 임시국회에서 관철시킬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