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섬유·패션 전략산업으로 키워야

고용창출효과와 부가가치가 높은 섬유ㆍ패션산업의 재도약을 위한 논의가 활발하다. 국회는 지난 주 토론회를 열어 섬유ㆍ패션산업의 구조혁신을 도모하고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대책을 논의했다. 여야 국회의원 35명은 섬유산업의 구조혁신에 필요한 예산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안도 발의했다. 섬유는 우리 경제가 세계 12위의 경제대국으로 발돋움하는데 크게 기여한 산업이다. 지금은 반도체와 자동차ㆍ조선 등에 밀려나기는 했지만 섬유ㆍ패션산업은 수출과 고용 등에서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섬유ㆍ패션업에 종사하는 업체는 1만7,000여개로 우리나라 전체 기업의 15%에 이르고 있다. 전체 일자리의 10.5%에 해당하는 30만명의 인력이 섬유ㆍ패션분야에서 일하고 있을 정도로 고용에서 차지하는 역할도 크다. 연간 39조원의 생산액과 16조원에 이르는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지난해 수출액은 139억달러로 72억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수출과 고용창출 등 모든 부문에서 효자 산업인데도 섬유를 사양산업으로 인식하는 것이 문제다. 섬유산업에 대한 정부지원만 해도 산업자원부 전체 예산 가운데 고작 1%에 불과할 정도로 관심밖으로 밀려나 있다. 일본ㆍ이탈리아 등 선진국들이 섬유산업을 지키기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펴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일본은 섬유산업구조개선 임시조치법을 만들어 꾸준히 지원함으로써 기업들의 경쟁력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미국과 유럽연합ㆍ호주 등도 기금을 통해 섬유산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섬유산업은 하기에 따라 얼마든지 고부가가치 산업이 될 수 있다. 나노ㆍ바이오기술 등을 이용한 산업용첨단소재와 결합할 경우 성장잠재력이 무한하다. 선진국들이 섬유산업을 버리기는 커녕 전략산업으로 육성ㆍ보호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국회가 섬유ㆍ패션산업의 부흥을 위해 나서고 있는 만큼 정부도 섬유산업이 세계적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 노후화된 생산설비의 개체와 선진국에 비해 떨어지는 첨단제품개발 능력 등을 높일 수 있도록 자금ㆍ인력ㆍ기술 등 모든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섬유ㆍ패션산업이 제2의 르네상스를 맞을 수 있도록 정부와 업계가 힘을 모아야 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