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삼성비자금 수사 급물살

특검, 이건희회장 집무실등 8곳 압수수색

삼성 비자금 의혹을 수사 중인 특별검사팀이 14일 ‘삼성의 심장’인 승지원까지 전격 압수수색을 실시하자 삼성 측은 초긴장 상태에 빠졌다. 이날 오전 특검팀이 승지원에서 압수한 자료들을 싣고 특검 사무실로 돌아가고 있다. /원유헌기자

삼성 비자금 의혹을 수사 중인 조준웅 특별검사팀이 14일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집무실과 그룹 핵심 임직원들의 자택 등 모두 8곳을 전격 압수 수색함에 따라 삼성 비자금 수사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특히 삼성 경영의 심장으로 비유되는 이 회장 집무실 승지원마저 압수 수색이 이뤄져 조만간 이 회장이 검찰에 소환될 가능성도 유력시된다. 삼성은 이번 사태로 대외 이미지 추락은 물론 글로벌 경영에도 일대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는 등 엄청난 혼돈상태에 빠져들고 있다. 삼성특검 수사팀은 이날 이 회장 집무실인 서울 이태원동 승지원과 부속건물을 전격 압수 수색했다. 또한 삼성의 핵심 임직원인 이학수 전략기획실장과 김인주 사장의 도곡동 타워팰리스 자택, 김 사장의 경기 남양주 소재 별장, 최광해 부사장과 전용배 상무의 도곡동 자택, 전략기획실 최모 부장과 김모 차장 자택 등 모두 8곳을 함께 압수 수색했다. 윤정석 특검보는 “아침8시30분부터 이 회장 집무실 등 8곳에 대해 압수 수색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날 압수 수색을 당한 임직원들이 삼성 경영의 핵심인데다 삼성 비자금 조성 의혹과 경영권 편법승계에 직접적으로 관여해왔다는 의혹이 끊이지 않았다는 점에서 이번 특검 수사는 삼성 비자금 조성과 경영권 편법승계 등 크게 두 방향으로 이뤄지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특히 특검이 이 회장 집무실 압수 수색으로 이 회장의 비자금 조성과 경영권 편법승계 과정에 대한 직ㆍ간접적인 개입이나 공모 여부를 밝혀낼 수 있을지도 초미의 관심사이다. 수사 결과 이 회장이 어떤 식으로든 개입했다는 점이 밝혀지면 사법처리가 불가피할 것이라는 게 법조계의 분석이다. 한편 이번 압수 수색은 특검 출범 4일 만이며 지난해 11월30일 당시 검찰 특별수사본부가 삼성증권 본사와 삼성SDS e데이터센터, 삼성증권 전산센터 등에 대한 압수 수색을 실시한 지 한달 보름 만에 전격적으로 이뤄졌다. 특검은 이날 오전 50여명의 검사와 수사관을 현장에 급파해 동시다발적으로 압수 수색을 벌였다. 이날 오전 세번째로 참고인 조사를 받기 위해 나온 김용철 변호사는 특검팀에 홍송원 서미갤러리 대표가 이 회장 일가의 미술품 구매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의혹이 담긴 메모를 제출했다. 이 메모는 홍 대표가 2004년 외국에서 미술품을 구입하다 외국환거래법 위반 혐의 등으로 검찰 조사를 받는 과정에서 홍 대표 측 변호사로부터 김 변호사가 들은 내용을 적은 것으로 홍씨가 에드 루샤의 작품 `마운틴' 등 미술품 두 점을 30억원에 구입했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관련기사



김홍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