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파장 전문가 진단] 소비ㆍ투자심리 회복 더 늦어져

북한의 핵 보유설이 경제에 미칠 파장으로 전문가들은 환율 급등과 외국인투자 자금 유출, 성장률 둔화를 손꼽았다. 특히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지 않을 경우 긴장의 장기화에 따른 경제 전반에 걸친 파급효과를 우려했다. 유병규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본부장 대행은 “올해 4%대 성장률 전망은 이라크 전후 대외여건 개선과 북핵 리스크 감소가 전제됐을 뿐 아니라 사스도 고려되지 않은 것”이라며 “북핵문제의 악화는 대외신인도 하락과 외국인투자 감소, 국내 소비심리 위축, 성장률 둔화라는 악순환을 가져올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불안심리을 안정시키는 것은 물론 일관된 대북정책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해 엔화와 동조현상을 보였던 원화환율이 북핵문제라는 강력한 변수의 등장으로 엔화환율에서 크게 이탈할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며 “협상과정에서 북한이 강한 주장을 펼치는 전술을 택할 수 있어 지금보다 더 심각한 위기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진단했다. 황인성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북한의 핵 보유 파문은 실물보다 심리적 불안요인으로 작용해 금융시장이 흔들리고 외국인투자가 빠져나가는 등 상당기간 악재로 존속할 것”이라며 “경기위축에 사스 확산으로 수출까지 제동이 걸린 상태에서 북한 문제는 경제활동 자체를 움츠러들게 만들어 소비 및 투자심리 회복이 늦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이연선기자 bluedash@sed.co.kr>

관련기사



이연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